광역버스, 자리 더 편하게 잡으세요…좌석예약제 확대 시행
페이지 정보

본문
수도권 출퇴근 시민의 ‘발’인 광역버스를 더 편하게 탈 수 있는 길이 열린다.
오는 8월 11일부터 더 많은 노선에서 ‘좌석 예약제’를 이용할 수 있게 되면서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현재 65개 노선·일 150회 운행 중인 광역버스 좌석예약제를 68개 노선·170회로 확대한다고 29일 밝혔다.
광역버스 좌석예약제는 ‘MiRi’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시간과 정류소를 지정해 좌석을 미리 예약하고, 지정된 시간에 대기 없이 바로 탑승할 수 있는 서비스다.
특히 출퇴근 시간대 혼잡을 완화하고자 집중 운영 중이며, 올해 6월 기준 평균 예약률은 80%를 웃돌고 있다.
국토부는 우선 광역버스 좌석 예약 서비스를 보다 많은 노선에서 다양한 시간대에 이용할 수 있도록 적용 노선과 운행횟수를 늘리기로 했다.
기존 65개 노선에서 하루 150회 운행하던 것을 총 68개 노선에서 하루 170회 운행하도록 한 것이다.
시행 지역은 수원, 용인, 성남, 의정부, 남양주, 안양 등 수도권 주요 도시다. 수원은 하루 42회에서 48회, 용인은 34회에서 41회로, 성남시는 9회에서 11회로, 의정부는 2회에서 4회로, 남양주시는 12회에서 13회로 확대되는 등 전체 운행 횟수가 지역별로 고르게 증가할 전망이다.
기존에 좌석예약제를 운영 중인 노선 중 예약이 빨리 마감돼 이용객이 사전 예약하기에 다소 어려운 예약률 상위 노선을 선별하고, 미운영 노선 중에서도 탑승객이 많은 혼잡 노선을 골라낸 결과다.
또한 국토부는 기존 일반 이용자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예약자 우선 탑승 후 비예약자도 잔여 좌석을 이용할 수 있는 ‘혼용제’ 방식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이용자 편의성도 개선된다. 기존에는 차량 도착 예정 시간만 확인할 수 있었지만 앞으로는 앱을 통해 예약 차량의 실시간 위치를 지도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 비예약자가 좌석이 만석임에도 교통카드를 태그해 혼선이 발생하던 문제도 단말기 기능 개선으로 해소했다. 빈 좌석이 없을 경우 비예약자의 카드 결제가 이뤄지지 않아, 기사 개입 없이도 정확한 탑승 통제가 가능해진다.
김수상 국토부 대도시권광역교통본부장은 “광역버스 좌석예약제 서비스를 통해 대기시간을 줄이면서 혼잡한 출퇴근길의 피로를 덜어드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서비스 확대 이후 운영 상황, 이용자 만족도를 면밀하게 모니터링하여 개선이 필요한 사항은 즉시 조치하고, 예약제 적용 노선을 지속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용인 실버타운
용인 고기리 실버타운
용인 힐스테이트 실버타운
- 이전글브링허백 다운로드 25.07.29
- 다음글암을 굶기는 대사치료 구충제 - 메벤다졸 - 러시아 직구 우라몰 ula24.top 25.07.2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