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회원정보
로그인 회원가입
  • 질문답변
  • 질문답변

    CONTACT US 043)535-1980

    평일 09시 - 18시
    토,일,공휴일 휴무

    질문답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달 1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sans339
    댓글 0건 조회 10회 작성일 25-07-28 03:15

    본문

    홈페이지상위노출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달 1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간담회를 열고 5대 그룹 총수와 경제단체장들을 만났다. 왼쪽부터 구광모 LG그룹 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이 대통령,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사진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이재명 정부가 법인세 최고세율을 다시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하면서 재계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미 삼성·LG·현대차 등 주요 대기업들의 2분기 실적이 후퇴하고 있고, 오는 8월 1일부터 미국 상호관세까지 본격화되는 상황에서 경영 부담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27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이달 말 발표할 새 정부 첫 세제개편안에 법인세 인상안이 담길 전망이다. 법인세 최고세율을 현행 24%에서 25%로 1%포인트 올리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2022년 윤석열 정부가 여야 합의로 인하한 조치를 3년 만에 되돌리는 것이다. 재계에선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 전망에도 먹구름이 드리워지는 가운데 법인세마저 인상되면 부담이 가중된다고 우려한다. 삼성전자의 올 2분기 잠정 영업이익은 4조6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6% 줄면서 반토막이 났다. 같은 기간 LG전자 영업이익 역시 46.6% 급감한 6394억원을 기록하는 데 그쳤다. 각각 주력 사업(반도체·TV)의 부진에 따른 영향이 컸는데, 오는 8월 1일부터 미국 상호관세가 부과되면 글로벌 수요 회복이 더욱 지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현대차·기아의 경우 2분기 합산 영업이익이 6조3664억원으로, 전년 대비 19.6% 줄었다. 합산 영업이익이 두 자릿수 감소한 것은 2020년 2분기 이후 5년 만이다. 역대 최대 판매량을 기록했음에도 미국의 자동차 관세(25%) 직격탄을 받은 결과다. 여기에 최근 미국에서 시행되기 시작한 대규모 감세 법안인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으로 현대차의 미국 내 연간 전기차 판매량이 최대 19억 달러 줄어들 수 있다는 부정적 전망(한국경제인협회)까지 제기되고 있다. 박경민 기자 재계에선 경영 현실을 고려해 현행 법인세 제도를 오히려 완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미 글로벌 기준에서 복잡하고, 또 높기 때문이다. 현재 한국의 법인세 과표구간은 총 4단계로 구성돼 있다. 하지만 국회 예산정책처가 발간한 ‘2025 대한민국 조세’에 따르면 OECD 38개국 가운데 코스타리카(5단계)를 제외하면 한국보다 더 복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달 1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간담회를 열고 5대 그룹 총수와 경제단체장들을 만났다. 왼쪽부터 구광모 LG그룹 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이 대통령,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사진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이재명 정부가 법인세 최고세율을 다시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하면서 재계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미 삼성·LG·현대차 등 주요 대기업들의 2분기 실적이 후퇴하고 있고, 오는 8월 1일부터 미국 상호관세까지 본격화되는 상황에서 경영 부담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27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이달 말 발표할 새 정부 첫 세제개편안에 법인세 인상안이 담길 전망이다. 법인세 최고세율을 현행 24%에서 25%로 1%포인트 올리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2022년 윤석열 정부가 여야 합의로 인하한 조치를 3년 만에 되돌리는 것이다. 재계에선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 전망에도 먹구름이 드리워지는 가운데 법인세마저 인상되면 부담이 가중된다고 우려한다. 삼성전자의 올 2분기 잠정 영업이익은 4조6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6% 줄면서 반토막이 났다. 같은 기간 LG전자 영업이익 역시 46.6% 급감한 6394억원을 기록하는 데 그쳤다. 각각 주력 사업(반도체·TV)의 부진에 따른 영향이 컸는데, 오는 8월 1일부터 미국 상호관세가 부과되면 글로벌 수요 회복이 더욱 지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현대차·기아의 경우 2분기 합산 영업이익이 6조3664억원으로, 전년 대비 19.6% 줄었다. 합산 영업이익이 두 자릿수 감소한 것은 2020년 2분기 이후 5년 만이다. 역대 최대 판매량을 기록했음에도 미국의 자동차 관세(25%) 직격탄을 받은 결과다. 여기에 최근 미국에서 시행되기 시작한 대규모 감세 법안인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으로 현대차의 미국 내 연간 전기차 판매량이 최대 19억 달러 줄어들 수 있다는 부정적 전망(한국경제인협회)까지 제기되고 있 홈페이지상위노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