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프린스턴대학 교수 존 아이켄베리 인터뷰존 아
美 프린스턴대학 교수 존 아이켄베리 인터뷰존 아이켄베리 프린스턴대 교수가 13일 서울에서 개막한 세계정치학회(IPSA) 총회의 일환으로 통일과나눔,한국정치학회가 공동 주최한 콘퍼런스에서 발언하고 있다. 아이켄베리 교수는 본지 인터뷰에서 “기존의 자유주의 국제 질서와 다른 ‘수정주의’적 접근을 하는 트럼프 대통령은 영원하지 않다”며 “(차기 대선에서) 트럼프 현상이 그대로 반복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박성원 기자존 아이켄베리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는 13일 “한국은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단순히 50대50의 균형 맞추는 제3자가 되어선 안 된다”며 “미국의 동북아 지역 파트너로서 대중 정책 협의, 첨단 기술, 방위 계획 등에서 다양한 협력을 더 강하게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미국의 대표적인 국제정치학자로, 서울에서 열리고 있는 세계정치학회(IPSA) 총회 참석차 방한한 아이켄베리 교수는 이날 본지 인터뷰에서 이같이 조언했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 후, 주한 미군 감축이 거론되고 있는 것과 관련, “트럼프 대통령에게 주한 미군은 한국과 미국, 양국에 모두 이득이 된다는 점을 계속 강조해야 한다. 중국과 북한이라는 위협에 맞서 협력함으로써 한국은 미국에 없어선 안 될 안보 파트너임을 납득시켜야 한다”고 했다.아이켄베리 교수는 “기존의 자유주의 국제 질서와는 다른 ‘수정주의(revisionist)’적 접근을 하는 트럼프 대통령은 영원하지 않다”며 “미국의 공화당은 트럼프에게 포획된 상태여서 일부 문제는 계속되겠지만, (차기 대선에서) 트럼프 현상이 그대로 반복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트럼프 외교정책의 배경은.“트럼프는 미국이 국익보다 세계 질서를 중시하는 동안 다른 나라들은 자국의 이익을 찾아서 행동했다고 보고 있다. 그래서 기존의 미국 외교정책을 따르지 않겠다는 것이다. 트럼프 행정부의 ‘수정주의’적 접근은 지난 1월 마르코 루비오 국무장관의 인준 청문회에서 잘 드러나 있다.”루비오 장관은 취임 전후에 미국이 세계 모든 문제를 짊어지는 현 상황을 비정상적이라고 평가하며 모든 외교의 초점을 ‘미국의 이익’에 맞출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한국을 포함, 전 세계 국가는 트럼프의 외교 정책이 과격하다고 느낀다.“미국의 안美 프린스턴대학 교수 존 아이켄베리 인터뷰존 아이켄베리 프린스턴대 교수가 13일 서울에서 개막한 세계정치학회(IPSA) 총회의 일환으로 통일과나눔,한국정치학회가 공동 주최한 콘퍼런스에서 발언하고 있다. 아이켄베리 교수는 본지 인터뷰에서 “기존의 자유주의 국제 질서와 다른 ‘수정주의’적 접근을 하는 트럼프 대통령은 영원하지 않다”며 “(차기 대선에서) 트럼프 현상이 그대로 반복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박성원 기자존 아이켄베리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는 13일 “한국은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단순히 50대50의 균형 맞추는 제3자가 되어선 안 된다”며 “미국의 동북아 지역 파트너로서 대중 정책 협의, 첨단 기술, 방위 계획 등에서 다양한 협력을 더 강하게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미국의 대표적인 국제정치학자로, 서울에서 열리고 있는 세계정치학회(IPSA) 총회 참석차 방한한 아이켄베리 교수는 이날 본지 인터뷰에서 이같이 조언했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 후, 주한 미군 감축이 거론되고 있는 것과 관련, “트럼프 대통령에게 주한 미군은 한국과 미국, 양국에 모두 이득이 된다는 점을 계속 강조해야 한다. 중국과 북한이라는 위협에 맞서 협력함으로써 한국은 미국에 없어선 안 될 안보 파트너임을 납득시켜야 한다”고 했다.아이켄베리 교수는 “기존의 자유주의 국제 질서와는 다른 ‘수정주의(revisionist)’적 접근을 하는 트럼프 대통령은 영원하지 않다”며 “미국의 공화당은 트럼프에게 포획된 상태여서 일부 문제는 계속되겠지만, (차기 대선에서) 트럼프 현상이 그대로 반복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트럼프 외교정책의 배경은.“트럼프는 미국이 국익보다 세계 질서를 중시하는 동안 다른 나라들은 자국의 이익을 찾아서 행동했다고 보고 있다. 그래서 기존의 미국 외교정책을 따르지 않겠다는 것이다. 트럼프 행정부의 ‘수정주의’적 접근은 지난 1월 마르코 루비오 국무장관의 인준 청문회에서 잘 드러나 있다.”루비오 장관은 취임 전후에 미국이 세계 모든 문제를 짊어지는 현 상황을 비정상적이라고 평가하며 모든 외교의 초점을 ‘미국의 이익’에 맞출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한국을 포함, 전 세계 국가는 트럼프의 외교 정책이 과격하다고 느낀다.“미국의 안과 밖에서 큰 갭이 있다. 미국에서 트럼프는 카리스마 있는 인기 정치인이다. 그의 핵심 지지층인 ‘매가(MAGA·미국 우선주의자를 의미)는 매우 충성스럽다. 지지율은 하락했지만, 유감스럽게도 미국 내부에서는 상당한 지지자들이 있다.”- 트럼프가 내년 중간선거에서 고전하면?“트럼프
美 프린스턴대학 교수 존 아이켄베리 인터뷰존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