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s1 DB
ⓒ News1 DB (서울=뉴스1) 소봄이 기자 = 남편이 아내와 상의 없이 퇴직금으로 땅을 샀다면, 아내는 이 퇴직금을 재산분할 받을 수 있을까.지난 13일 양나래 변호사의 유튜브 채널에 따르면 50대 중반 여성 A 씨는 최근 남편이 25년간의 직장 생활을 마치고 조기 퇴직했다고 밝혔다.A 씨는 "남편이 경제 활동을 하는 게 좋지만 조금 일찍 희망퇴직 하면 퇴직금을 더 챙겨줘서 이 같은 선택을 했다"며 "매달 들어오는 월급이 사라졌고 살날이 아직 많아서 남편과 어떻게 살면 좋을지 고민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그러나 퇴직 한 달 반쯤 지나 남편은 돌연 "난 은퇴한 뒤에 어려서 나고 자란 동네로 돌아가 귀농 생활하는 게 꿈이었다. 퇴직금 받은 걸로 본가 부모님 댁 근처에 있는 땅을 샀다. 거기에 집 지으려고 건축사무소도 알아봐 계약했다"고 통보했다.A 씨는 "저는 서울에서 나고 자랐다. 남편이 가기로 한 그 지역도 시댁 갈 때나 잠깐 갔던 곳이고 연고도 전혀 없는 곳"이라며 "남편이 퇴직금 목돈으로 한마디 상의도 없이 계약했다니까 너무 당황스러웠다. 나에 대한 존중이 없다는 생각과 배신감이 들었다"고 토로했다.이에 A 씨가 "당신이 어떻게 이럴 수 있냐? 난 절대 내려가서 살 수 없다"고 따지자, 남편은 "내가 일평생 일해서 받은 퇴직금을 내 마음대로 쓰겠다는데 당신이 왜 이거로 가타부타하는지 모르겠다. 당신은 서울에서 살고 싶으면 살아라. 단 내 퇴직금은 당신한테 한 푼도 줄 수 없다"고 했다.A 씨는 "남편과 함께하는 여생을 꿈꾼 게 나의 욕심이었나 싶다. 이 사람은 결혼 생활 내내 그냥 나를 집에서 밥해주는 사람으로 생각했나 보다"라며 "이런 것도 이혼 사유가 되냐? 이혼하게 되면 나도 남편이 받은 퇴직금을 정당하게 재산분할 받을 수 있냐?"고 물었다.양 변호사는 "일방적으로 결정한 것도 모자라 아내에게 상처 주는 이야기들을 한 걸 다 증거로 모으면 충분히 이혼 사유가 될 수 있다"고 답했다.이어 "남편이 바깥에서 열심히 경제 활동할 수 있던 건 아내가 열심히 내조하고 집안 살림을 꾸려나가고 자녀도 잘 양육했기 때문"이라며 "퇴직금 역시 아내가 정당한 몫을 분할받을 자격이 있다"고 덧붙였다.sby@news 장날을 맞은 지난 11일 나주시 남평읍 남평5일시장에서 상인들이 부채와 선풍기로 더위를 식히며 손님을 기다리고 있다. /나명주 기자 mjna@kwangju.co.kr “건강도 안좋지, 폭염이라는데 시장에 더위 피할 데도 없지, (자식들이) 장에 나가지 말라고 하지, 그래도 나가야지, 한두푼이라도 벌러 나와야지….” 지난 11일 광양시 광양5일장에서 야채를 판매하는 박양순(여·73)씨는 낡아서 먼지가 두텁게 쌓인 선풍기 앞에서 오지 않는 손님을 기다리며 땀을 줄줄 흘리고 있었다. 그나마 박씨는 주변에 전기를 끌어올 데가 가까워 선풍기라도 이용이 가능했다. 박씨는 70세가 넘었지만 폭염에도 에어컨 등 냉방기는 커녕 얼음물 한 병조차 찾기 힘든 시장에서 좌판을 깔고 더위를 버텨내며 손님을 기다리고 있었다. 어차피 재래시장 자체가 사방이 뚫려있는 구조라 에어컨 바람을 기대하기는 무리지만 폭염을 견뎌낼 별다른 냉방 시설이 전혀 없어 박씨같은 70대 노인 대부분이 속절없이 땀만 쏟아내고 있는 실정이었다. 같은 날 무안군 일로전통시장에서 낙지와 바지락 등을 팔고 있던 김장례(여· 77)씨는 날씨가 너무 더워서 금세 녹아버리는 얼음을 다시 채워넣느라 수시로 한봉지당 5000원씩 하는 얼음 봉지들을 들고 나르며 진이 빠진 채 한마디 했다. 김씨는 “시원한 물이라도 한 잔 마시려면 인근 식당으로 가 밥이라도 먹어야 하고 선풍기 틀 전선 구하기도 힘든데, 누가 시원한 대형마트 가지 시장을 오겠나”고 했다. 지난 11일 순천·무안·광양·나주 등 전남 지역 재래시장에 좌판을 펼친 고령층 노인 상인들이 폭염에 무방비하게 노출돼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장날을 맞은 지난 11일 나주시 남평읍 남평5일시장에서 상인들이 부채와 선풍기로 더위를 식히며 손님을 기다리고 있다. /나명주 기자 mjna@kwangju.co.kr 시·군 전통시장 상인과 손님 대다수가 건강 취약계층인데도, 지자체 무관심과 열악한 시설 구조 등으로 장날에도 ‘찜통’같은
ⓒ News1 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