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경제전문가 69명 설문침체확률 4월 45%→7월 33%1분기 역성장서 반등 전망물가도 3% 미만으로 ‘안정’지나친 낙관론 경계 주장도 시민들이 미국 뉴욕 증권거래소 앞을 지나가고 있다. [AP = 연합뉴스]올해 1분기 미국 경제가 3년 만에 역성장을 기록하며 불거진 미 관세발 경기 침체 우려가 잦아들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촉발한 ‘관세 전쟁’ 여파에도 물가와 고용 지표가 양호한 모습을 보이는 데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엄포를 수차례 스스로 거둬들이며 시장에 낙관적 기대를 불어넣고 있어서다.지난 11일(현지시간)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지난 3일부터 8일까지 월가 투자은행, 대학, 컨설팅 업체에서 근무하는 69명의 경제학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향후 12개월 내 경기 침체 확률의 평균값은 33%로 집계됐다.직전 조사인 4월 집계치(45%)보다 하락한 수치다. 아울러 경제학자들은 올해 미국의 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전기 대비 연율 기준 1%로 내다봤다. 이 역시 4월 전망치(0.8%)보다 개선됐다.낙관적 전망이 나오는 이유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드라이브에도 불구하고 미국 경제가 잘 버티고 있어서다. 우선 시장이 가장 염려하던 관세발 물가 상승이 일어나지 않은 점이 꼽힌다.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한 올해 1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전년 동기 대비 3%를 기록했다. 이후 관세 위협이 계속됐으나 올해 5월 CPI 상승률은 2.4%로 되레 하락했다.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 CPI는 같은 달 2.8%로 4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본격화되기 전 소비자들과 기업이 서둘러 해외 상품 ‘사재기’에 나선 영향이 컸다. 미국 시카고의 한 상점 앞에 인력 채용 안내문이 붙어있다. [AP = 연합뉴스]물가가 잠잠하면서 고용 상황은 오히려 호전됐다. 미국의 6월 실업률은 4.1%로 전월(4.2%)보다 낮아졌다. 전망도 개선됐다. WSJ 설문조사에 따르면 경제학자들은 향후 1년간 고용이 월평균 7만4070명 증가할 것으로 봤다. 4월 조사치(5만4619명)보다 높은 수치다.아울러 트럼프 행정부가 그동안 수차례 관세를 통보했다 유예해온 이력도WSJ 경제전문가 69명 설문침체확률 4월 45%→7월 33%1분기 역성장서 반등 전망물가도 3% 미만으로 ‘안정’지나친 낙관론 경계 주장도 시민들이 미국 뉴욕 증권거래소 앞을 지나가고 있다. [AP = 연합뉴스]올해 1분기 미국 경제가 3년 만에 역성장을 기록하며 불거진 미 관세발 경기 침체 우려가 잦아들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촉발한 ‘관세 전쟁’ 여파에도 물가와 고용 지표가 양호한 모습을 보이는 데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엄포를 수차례 스스로 거둬들이며 시장에 낙관적 기대를 불어넣고 있어서다.지난 11일(현지시간)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지난 3일부터 8일까지 월가 투자은행, 대학, 컨설팅 업체에서 근무하는 69명의 경제학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향후 12개월 내 경기 침체 확률의 평균값은 33%로 집계됐다.직전 조사인 4월 집계치(45%)보다 하락한 수치다. 아울러 경제학자들은 올해 미국의 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전기 대비 연율 기준 1%로 내다봤다. 이 역시 4월 전망치(0.8%)보다 개선됐다.낙관적 전망이 나오는 이유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드라이브에도 불구하고 미국 경제가 잘 버티고 있어서다. 우선 시장이 가장 염려하던 관세발 물가 상승이 일어나지 않은 점이 꼽힌다.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한 올해 1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전년 동기 대비 3%를 기록했다. 이후 관세 위협이 계속됐으나 올해 5월 CPI 상승률은 2.4%로 되레 하락했다.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 CPI는 같은 달 2.8%로 4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본격화되기 전 소비자들과 기업이 서둘러 해외 상품 ‘사재기’에 나선 영향이 컸다. 미국 시카고의 한 상점 앞에 인력 채용 안내문이 붙어있다. [AP = 연합뉴스]물가가 잠잠하면서 고용 상황은 오히려 호전됐다. 미국의 6월 실업률은 4.1%로 전월(4.2%)보다 낮아졌다. 전망도 개선됐다. WSJ 설문조사에 따르면 경제학자들은 향후 1년간 고용이 월평균 7만4070명 증가할 것으로 봤다. 4월 조사치(5만4619명)보다 높은 수치다.아울러 트럼프 행정부가 그동안 수차례 관세를 통보했다 유예해온 이력도 낙관적 전망의 배경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4월 세계 각국을 대상으로 상호관세 부과 방침을 발표한 뒤 일주일만에 90일간 유예했다.그러다 지난 7일부터도 각국에 다시 상호관세 서한을 보내며 다음달 1일로 부과 시점을 못 박았다. 그러나 시장은 트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