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GM 부평공장 정문 모습. 한국GM은 지난
페이지 정보

본문
한국GM 부평공장 정문 모습. 한국GM은 지난 28일 직영서비스센터와 부평공장 유휴부지를 매각하는 긴축안을 발표했다. 오삼권 기자 한국GM이 직영서비스센터와 공장 유휴부지 매각에 나서면서 위기론이 또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회사는 “계획된 생산활동에는 영향이 없고 한국 시장에서도 철수하지 않는다”고 해명에 나섰지만, 직원들은 “불안감이 크다”며 위기감을 표출하고 있다. 29일 한국GM 노사는 부평공장에서 ‘2025년 임금협상’ 1차 교섭을 진행했다. 전날 한국GM이 전 직원에게 공지한 전국 9개 직영서비스센터 순차 매각, 부평공장 유휴자산·토지매각이 논쟁거리였다. 중앙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한국GM 노조와 헥터 비자레알 사장의 대화는 이랬다. ▶노조=“직영서비스센터를 매각하겠다는 건 내수시장을 접겠다는 것 아닌가.” ▶헥터 사장=“한국GM은 한국 시장에서 철수하지 않을 것이다. 수익이 안나는 사업장, 유휴부지를 매각하는 것이고 현재 생산에는 영향이 없다.” ▶노조=“GM본사에서 언제 이 결정을 했나.” ▶헥터 사장=“깊게 논의한 뒤 결정했고 최대한 빨리 노조에 전달했다.” ▶노조=“회사의 미래를 위한 계획을 가져오지 않으면 협상에 임하지 않겠다.” 양측은 이견을 좁히지 못한 채 1차 교섭은 끝났다고 한다. 안규백 한국GM 노조지부장은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한국GM은 국내 완성차업체 중 유일하게 미래차 전환 계획이 없어 장기적으로 일자리 위협이 크다”며 “미래 계획 없이 갑작스럽게 회사가 자산 매각이라는 폭탄을 던진 격”이라고 했다. 한국GM은 2018년 군산공장을 폐쇄하면서 공적자금 8000억원을 수혈받는 대신 “향후 10년간 한국사업장을 유지하겠다”고 약속했다. 약속한 시점인 2027년 말이 가까워진 상황에서 자산매각에 나선 것이다. 한국GM은 2018년에도 직영서비스센터 매각을 추진했었다. ━ 직영서비스센터 매각…“국내 판매 노력 않겠다는 것” 한국GM의 직영서비스센터는 서울 양평 및 동서울, 부산, 인천, 대전, 광주, 전주, 원주 등 전국 9곳에 분포돼 있다. 모두 종합정비가 가능한 1급 정비소다. 한국GM은 지난해 서울 지역 종합정비소 중 최대 규모인 서울 양평 서비스센터를 신축하고 동서울 서비스센터는 증축 중인데, 이 역시도 매물로 올리겠다는 것이다. 신재민 기자 이호근 대덕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는 “종합정비소는 지자체장 인허가를 받아야 열 수 있어서 한국 사업 한국GM 부평공장 정문 모습. 한국GM은 지난 28일 직영서비스센터와 부평공장 유휴부지를 매각하는 긴축안을 발표했다. 오삼권 기자 한국GM이 직영서비스센터와 공장 유휴부지 매각에 나서면서 위기론이 또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회사는 “계획된 생산활동에는 영향이 없고 한국 시장에서도 철수하지 않는다”고 해명에 나섰지만, 직원들은 “불안감이 크다”며 위기감을 표출하고 있다. 29일 한국GM 노사는 부평공장에서 ‘2025년 임금협상’ 1차 교섭을 진행했다. 전날 한국GM이 전 직원에게 공지한 전국 9개 직영서비스센터 순차 매각, 부평공장 유휴자산·토지매각이 논쟁거리였다. 중앙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한국GM 노조와 헥터 비자레알 사장의 대화는 이랬다. ▶노조=“직영서비스센터를 매각하겠다는 건 내수시장을 접겠다는 것 아닌가.” ▶헥터 사장=“한국GM은 한국 시장에서 철수하지 않을 것이다. 수익이 안나는 사업장, 유휴부지를 매각하는 것이고 현재 생산에는 영향이 없다.” ▶노조=“GM본사에서 언제 이 결정을 했나.” ▶헥터 사장=“깊게 논의한 뒤 결정했고 최대한 빨리 노조에 전달했다.” ▶노조=“회사의 미래를 위한 계획을 가져오지 않으면 협상에 임하지 않겠다.” 양측은 이견을 좁히지 못한 채 1차 교섭은 끝났다고 한다. 안규백 한국GM 노조지부장은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한국GM은 국내 완성차업체 중 유일하게 미래차 전환 계획이 없어 장기적으로 일자리 위협이 크다”며 “미래 계획 없이 갑작스럽게 회사가 자산 매각이라는 폭탄을 던진 격”이라고 했다. 한국GM은 2018년 군산공장을 폐쇄하면서 공적자금 8000억원을 수혈받는 대신 “향후 10년간 한국사업장을 유지하겠다”고 약속했다. 약속한 시점인 2027년 말이 가까워진 상황에서 자산매각에 나선 것이다. 한국GM은 2018년에도 직영서비스센터 매각을 추진했었다. ━ 직영서비스센터 매각…“국내 판매 노력 않겠다는 것” 한국GM의 직영서비스센터는 서
- 이전글비아그라 해외 직구: 안전하고 합법적인 방법 알아보기 - 비아센터 25.05.29
- 다음글다시 일어서다: 어려움을 이겨내는 힘 25.05.2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