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회원정보
로그인 회원가입
  • 질문답변
  • 질문답변

    CONTACT US 043)531-1980

    평일 09시 - 18시
    토,일,공휴일 휴무

    질문답변

    서울 양천구는 기온과 풍속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23회 작성일 25-05-20 08:05

    본문

    서울 양천구는 기온과 풍속을 감지해 자동으로 개폐되는 스마트그늘막을 올해 확대 설치한다. 양천구청 제공 서울 양천구는 오는 9월 30일까지 4개월 간 ‘2025 폭염대비 종합대책’을 본격 추진한다고 20일 밝혔다.이기재 양천구청장은 “이번 여름도 강력한 무더위가 예상되는 만큼 구민의 안전과 건강을 최우선에 두고 폭염에 적극 대응할 계획”이라며 “특히 어르신, 야외근로자 등 폭염취약계층이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실효성 있는 대책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이와 관련, 양천구는 올해 폭염 취약계층을 더욱 두텁게 보호하기 위해 예년 대비 10% 증원한 1053명의 ‘재난 도우미’를 운영한다. ‘노인돌보미’와 통장, 지역자율방재단 등으로 구성된 재난 도우미는 안부전화나 방문을 통해 독거노인, 만성질환자, 장애인 등 폭염 취약계층의 건강을 체크할 예정이다.또 폭염대책 기간 중 방문간호사 등 전담인력 30여 명이 건강취약계층에 대해 강화된 건강돌봄 서비스를 제공한다. 폭염특보가 발령되면 집중관리 대상자 850여 명의 안부를 확인하고 혈압·혈당 측정 등을 통해 건강과 안전을 살필 예정이다.무더위 그늘막은 이른 더위에 대비해 지난달 중순부터 이미 114곳에 조기 가동하고 있다. 특히 기온과 풍속을 감지해 자동 개폐되는 ‘스마트 그늘막’은 노약자 인구, 생활인구, 열분포도 등 빅데이터를 반영해 폭염 취약지역에 12대를 추가 설치, 총 57곳에 운영할 계획이다.지하철 오목교역과 신정네거리 일대 버스정류장 등 3곳에는 최첨단 기술이 집약된 ‘스마트 마루’를 통해 냉방, 공공와이파이, 휴대전화 충전 등이 가능한 대기 공간을 제공한다.폭염 대피 공간인 무더위쉼터는 구민 접근성이 좋은 경로당, 금융기관, 구립도서관, 복지관 등을 포함해 총 196곳에서 운영한다. 열악한 주거환경으로 열대야를 피하기 힘든 고령자를 위해서는 양천구와 협약을 맺은 숙박업소 3곳을 ‘어르신 무더위 안전숙소’로 지정해 객실료를 지원할 계획이다.여름철 공사현장 야외 근로자에 대한 보호 대책도 강화한다. 보냉장구를 제공하고 휴식시간과 장소를 지정해 운영한다. 7월부터 8월까지 신정네거리역 인근에는 이동식 천막을 설치해 건설 일용근로자들을 위한 새벽인력시장 쉼터로 제공한다. 갈증 안산시 폐기물처리(소각)시설 전경. 경기일보DB 안산시가 소각시설 추가 조성을 추진하고 있지만 대상지 선정에 난항(경기일보 12일자 10면)을 겪는 가운데 현재 사용 중인 시설의 노후화로 효율성이 떨어져 대책이 요구된다. 특히 현재 시가 사용 중인 소각시설의 소각로 변형으로 유지보수비가 급증할 것으로 진단받는 등 소각장 재건축의 필요성도 검토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19일 시에 따르면 2022년 7월 환경부가 부족한 소각시설을 올해까지 추가 조성할 것을 촉구해 관련 공고를 두 차례에 걸쳐 추진했으나 입지신청 대상지 접수가 없어 건립 후보지 선정을 위한 용역이 시급하다. 이에 시는 관련 법을 토대로 폐기물처리(소각)시설 입지선정위를 꾸려 이를 통해 소각시설 입지 선정과 변경 등은 물론이고 후보지 타당성 조사 필요 여부 결정 및 타당성 조사를 위한 전문기관 선정·타당성 조사계획 수립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이런 가운데 시가 2001년 427억여원을 들여 하루 200t을 처리할 수 있는 자원회수시설을 단원구 첨단로 726번지 일대 8만7천226㎡에 건립했지만 24년이 지나 노후화로 하루 160t만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또 소각시설 연소가스 방지설비의 경우 케이싱 산화부식이 진행되는 등 전반적인 노후화로 정기적으로 안정적 사용이 어려울 것으로 시는 판단하고 있다. 이에 시는 현재 사용 중인 시설을 하루 200t 처리용량에서 250t 규모로 보수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장상·신길지구 및 의왕·군포·안산신도시 조성 등 향후 도시 확장에 따라 늘어날 생활폐기물과 소각장 가동일수 등을 감안, 하루 360t 을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 보수만으로는 근본적인 해결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이로 인해 시는 신규 소각시설 대상지 선정작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대상지 선정에 난항을 겪고 있어 현 소각시설을 재건축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관련 업계 관계자는 “시가 신규 부지 선정을 위해 노력 중이지만 대상지가 나타나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현 소각장을 재건축하면 그 기간 다른 곳에 비용을 들여서라도 처리를 의뢰하면 민원 등도 해결할 수 있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