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걸 "로열티"라고 해. (로열티 =
페이지 정보

본문
이걸 "로열티"라고 해. (로열티 = 번 돈 중 일정 퍼센트를 본사에 주는 돈)아빠:감사합니다!정현식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장님이 말했는데,던킨은 10.9%, 타코벨은 9.75%,#던킨예를 들어서 던킨도너츠는매주 번 돈의 10.9%를 본사에 줘야 해.어떻게 달라요?#로열티헉… 다들 엄청 많이 가져가네요…정확해! 그리고 미국에서는 이걸 아주 열심히 떼어가.#배스킨라빈스엄청 큰 변화지.아빠:한국에서는 가게 열 때 드는 돈이 미국보다 훨씬 적어.아빠:잼민이:잼민이:잼민이:잼민이:아빠:아빠:앞으로는 미국처럼, 번 돈 중에서정해진 만큼 매주 본사에 내야 할 수도 있어.잼민아, 근데 한국은 아직 미국이랑 좀 달라.잼민아, 한국에서는 치킨집이나 햄버거 가게를 열면,아빠:맞아.아빠:그래서 사람들이 화난 거군요?응. 이렇게 돈이 많이 들지만,아빠:아빠:얌브랜드라는 회사가 있는데,#미국프랜차이즈맞아.응! 알아요!잼민이:이걸 매출 기준으로 보면 약1.5% 정도 되는 거야.#프랜차이즈소송아빠:그 대신,아빠:비율로 따지면 6.8%정도야.잼민이:그럼 한국도 이제 이렇게 바뀔 수 있는 거예요?맞아. 프랜차이즈 업계 관계자는,정확해!#차액가맹금앞으로는매주 번 매출 중 일정한 금액(로열티)을광고비로 또 4.5%를 더 내야 해.둘 다 합치면 12.5%를 내야 해!#가맹점아빠:한국에서 열어도최대 7억9040만 원이나 들어.잼민이:그래서 재료를 팔면서 돈을 버는 방식을 썼던 거야.이번 이야기는,그럼 로열티는 없어요?잼민이:대신 닭 한 마리 팔 때마다 광고비로 300원을 본사에 내야 해.가게 주인이 번 돈을거의 다 자기 거로 가질 수 있었어.아~ 그러니까 재료는 싸게 주고, 번 돈 중에 떼어가는 거군요!평균 매출이 3203만 원이니까,헉… 돈이 진짜 많이 드네요!정확해!와… 거의 대부분이네요?서브웨이 오픈하려면 돈이 훨씬 더 많이 들어가.잼민이:아빠:---정확해! 아주 잘 이해했어, 잼민아~!아빠:응, 로열티는 없고,10.9%요?바로,#투썸플레이스그리고 찜닭 가게인 두찜은 초기 창업비용이 평균 3541만 원밖에 안 돼.매출의 몇 퍼센트를 로열티로 받는 구조로 바꿀 가능성이 크다는 거야!#창업리스크자세한 내용은 잼민이와 아빠의 대화로 쉽고 재밌게 풀어나가겠습니다.잼민이:응. 대신에 재료는 아주 싸게 줘.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앞으로는 창업하려는 사람들이 내야 하는초기 비용과위험이 훨씬 높아질 거다"라고 했어.아빠:맞아.그럼 앞으로는 어떻게 될까요?우와… 한국 가게들도 이제 엄청 어려워질 수 있겠네요…우와! 엄청 많이 가져가네요!아빠:아빠:잼민이:아빠:매달 정해진 돈을 내는 거네요!추가로 필요하시면 알려주세요!예를 들어 가게가 1000원을 벌면, 10%는 100원을 본사에 주는 거야!한국의치킨집, 햄버거 가게들이 앞으로큰 변화를 겪게 될 수도 있다는 소식을 다룹니다.그럼 가게 여는 것도 더 어려워지겠네요?아빠:잼민이:퍼센트요? 퍼센트가 뭐예요?#가맹수수료잼민이:아빠:(여기엔 상가 보증금이나 월세는 포함 안 됐어)가게 주인님들도 앞으로는 번 돈 중 일부를 내야 할지 모르는 거야."왜 몰래 돈 벌어?!" 하고 따진 거야.아빠:잼민이:써브웨이는 미국에서 매주 매출의 8%를 로열티로 본사에 내야 하고,퍼센트는 100개 중에 몇 개를 뜻하는 거야.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며,오~ 조금씩 내는 거네요.#창업준비이걸 "차액가맹금"이라고 해. (차액가맹금 = 본사가 재료를 비싸게 팔아서 남기는 돈)프랜차이즈 본사들은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두찜이게 미국과 유럽에서는 '당연한 방식'처럼 되어 있어.아빠:재료값은 거의 남는 것 없이 싸게 공급해줘요.한국에서는 본사가 로열티 대신차액가맹금만 받는 경우가 70%나 된대.응, 그래서 이번 소송이프랜차이즈 사업 전체를 흔들 수 있는아주 중요한 사건이야!미국에서는 써브웨이만 그런 게 아니야.아~ 그러니까 번 돈 조금 떼서 주는 거군요!#타코벨매출의 10%를 본사에 줍니다!사람들이 "왜 몰래 돈 벌어?!" 하고 소송을 걸면서,잼민이:아빠:맞아. 그래서 가게 주인님들이 화가 나서 소송을 걸었어.#KFC이미 다 이렇게 운영하고 있었어요!어디까지 재료를 강제로 사야 하는지,아빠:재료 팔아서 몰래 돈 버는 게 아니라,잼민이:저는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했을 뿐,대신 재료를 비싸게 팔면서 몰래 돈을 버는 구조였지.그럼 한국 가게 열 때는 돈이 얼마나 들어요?아빠:#식자재공급잼민아, 아까 써브웨이 이야기했었지?인테리어비까지 다 합쳐서 평균 9079만 원 정도 들어.미국처럼 진입장벽(가게 열기 어렵게 만드는 것)이 올라가는 거지.오늘 참고할 한국경제신문 기사 소개해드립니다!#프랜차이즈아빠:앞으로는 미국처럼 정해진 퍼센트로 돈을 받게 바뀔 가능성이 커졌어.#창업비용그리고 매주 번 돈을 본사에 떼어주지도 않아.잼민이:아빠:아빠:그렇지. 왜냐하면 한국 사람들은 "로열티(매주 번 돈을 떼어주는 것)"에 거부감이 크거든.잼민이:앞으로 새로 들어오는 가게 주인들에게는아예 미국식 계약을 할 수도 있어.배스킨라빈스도 로열티가 없어. 가입비는 880만 원 정도고.
- 이전글충치 재발 방지를 위한 수복재 선택, 강서구치과에서 정확한 판단 25.05.16
- 다음글사회의 어둠과 빛: 불평등과 희망 25.05.1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