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중국 국가주
페이지 정보

본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겸 중앙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EPA 연합뉴스 중국 인민해방군 최고위층이 잇따라 실각한 것을 두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군 통제력이 흔들리고 있다는 의견이 나오지만, 전문가들은 반대로 시 주석의 장악력이 강화될 것이라는 해석을 내놓았다.5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전문가들이 “중국군 고위 간부 대상으로 진행 중인 반부패 운동은 군에 대한 시진핑 주석의 통제력 약화 신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고 분석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반부패 운동이 중국군 역량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고, 시 주석 측근들 사이의 내부 경쟁이 군 고위층 수사 배경의 하나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최근 2년간 중국군 최고 권력기관인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 6명 가운데 2명은 부패 혐의로 실각했고, 1명은 50일 넘게 종적을 감췄다. 중국군 서열 5위이던 먀오화 중앙군사위원회 위원 겸 정치공작부 주임은 지난해 11월 말 부패 혐의로 정직 처분됐고, 지난달 30일에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대표 자격을 박탈당했다. 2023년 말에는 리상푸 전 국방부장(장관)이 해임됐다. 중국군 서열 3위인 허웨이둥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은 올해 3월 초 전인대 폐막 뒤 50일 넘게 모습을 드러내지 않아, 숙청설이 힘을 얻고 있다.시자쥔(시진핑 측근)으로 분류되는 군 고위인사가 줄줄이 낙마했지만 전문가들은 ‘시 주석의 군 통제력 약화’라는 해석을 경계했다. 이름을 밝히지 않은 중국 정치분석가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에 “시 주석이 군을 통제하는 강력한 수단은 충성스럽지 않고 무능한 인사를 제거하는 반부패 운동과 충직하고 유능한 인사를 핵심 자리에 기용하는 군 개혁”이라면서 “이 두가지에는 변화가 없다”고 말했다. 덩위원 전 중앙당교 기관지 부편집장은 “중국군이 훈련을 줄이거나 군 현대화 작업을 늦추고 있다는 징후는 전혀 없다”면서 “부패 인사 숙청은 시 주석이 군 최고 인사권을 장악하고 있다는 걸 보여줘, 오히려 그를 더 강하게 만든다”고 주장했다.중국군 고위직 “북한 관련 정보는 추측이나 명확하지 않은 방법으로 수집되는 경우가 많은데, 위성 사진을 활용하면 사실과 의견을 분리해 북한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숙원 사업인 원산 갈마해안관광지구를 비롯해 북·러 두만강 다리 건설 현장, 북한 최대 무역항이자 조선소가 있는 남포항 등 북한 정권이 심혈을 기울이는 곳들의 동향을 최첨단 기술로 분석하는 국내 스타트업이 있다. 인공지능(AI) 기반 위성영상 분석 업체 에스아이에이(SI Analytics)다. 전태균 SIA 대표이사는 세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위성 사진을 활용해 북한 관련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SIA 제공 폐쇄된 국가인 북한 동향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은 많지 않다. 우선 조선중앙통신, 조선중앙TV와 같은 관영매체 보도 내용을 근거로 대내외 정책을 파악하고 당·내각 고위급 인사 변동, 무기 제원 등을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북한 보도의 주목적은 체제 선전에 있고 내밀한 정보는 공개하지 않아 북한의 실상을 파악하기엔 어려운 방법이다. 북한이탈주민(탈북민) 증언이나 접경지역 소식통을 통해 북한이 공표하지 않은 정보를 파악할 수 있지만, 여기에도 주관이 개입될 여지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전태균 SIA 대표는 지난달 24일 대전 유성구 사무실에서 가진 세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위성사진을 활용한 북한 정보 분석의 장점으로 ‘객관성’을 들었다. 장기간 동일한 지역을 촬영한 인공위성 사진을 비교 분석하면 차량 통행량, 군함 건조 현황, 건설 사업 진행 상황 등을 비교적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전 대표는 “(인공위성을 활용하면) 명확한 사진과 장기적인 기록들을 통해 실제 추세가 어떠한지 파악할 수 있다”며 “이를 통해 (북한 관련)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는 명확한 근거를 제시하려고 한다”고 말했다.SIA에서 북한 분석을 전담하는 엔케이 인사이트(NK Insight) 팀은 30여년간 북한 정보 관련 업무를 해온 군 출
- 이전글��õ������ȣ���߽��ϴ�. 25.05.06
- 다음글“골프·백현동 발언, 의견 아닌 사실 영역”…1심 판결로 ‘회귀’ 25.05.0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