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회원정보
로그인 회원가입
  • 질문답변
  • 질문답변

    CONTACT US 043)531-1980

    평일 09시 - 18시
    토,일,공휴일 휴무

    질문답변

    2015년 '중국제조 2025' 발표…"전폭적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3회 작성일 25-04-27 15:37

    본문

    2015년 '중국제조 2025' 발표…"전폭적 정부 지원 속 민간기업 혁신 시너지"中, 무역갈등 커지자 언급 자제…반도체·신소재는 '목표 미달' 평가최종목표는 '2049년 美 추월, 세계 1위'…"과잉생산·시장왜곡 부작용" 지적도2025 상하이 오토쇼에 등장한 BYD의 전기차[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금지](서울=연합뉴스) 권숙희 기자 = 2015년 중국이 '세계의 공장'이라는 기존 이미지를 벗고 제조업 혁신 글로벌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비전 '중국제조 2025'(메이드 인 차이나 2025)를 내 건 지 올해로 10년이 됐다. 중국의 '제조업 강국' 중장기 계획의 1단계에 해당하는 이 비전의 웅장한 목표와 그 성과는 중국 저력을 평가할 수 있는 가늠자라는 측면에서 최근 미중 무역전쟁이 격화하는 가운데 더욱 주목받고 있다. 중국은 이제 전기차와 조선 등 일부 분야에서는 세계 시장을 압도적으로 선도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로봇, 인공지능(AI) 등의 성장세도 연일 세계를 놀라게 하고 있다. 다만 반도체와 신소재 등 첨단 기술 분야에서는 여전히 선진국의 벽을 넘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018년 미중 무역전쟁 당시 도널드 트럼프 미국 1기 행정부가 '중국제조 2025'의 핵심 과제를 주요 타깃으로 삼자 이후 중국 공식 석상에서는 관련 성과에 대한 언급이 자제되기도 했다.중국의 스타트업이 만든 생성형 AI 챗봇 딥시크[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금지] 10년 만에 기술 선도 '성과'…세계 전기차 50%·조선 수주 70%·배터리 60% 장악에 '딥시크'까지 출시 10년 전 중국의 리커창 총리는 중국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변모시키기 위해서는 '제조에서 창조', '속도에서 품질', '단순 제품에서 브랜드'로의 전환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때 중국 국무원이 제시한 10대 핵심 산업은 ▲ 차세대 정보기술(반도체) ▲ 고급 디지털 선반 및 로봇 ▲ 항공우주장비 ▲ 해양플랜트 및 고급 선박 ▲ 선진궤도 교통장비(고속철도) ▲ 에너지 절약 및 신에너지 자동차 ▲ 전력 장비 ▲ 신소재 ▲ 바이오의약 및 고성능 의료기기 ▲ 농업 기계 장비 등이다. 이후 불과 10년 사이에 중국은 생활용품이나 장난감만이 아닌 전세계 50% 점유율의 전기차, 딥시크 같은 저비용 고효율 AI 모델 등을 잇달아 내놓으며 '기술2015년 '중국제조 2025' 발표…"전폭적 정부 지원 속 민간기업 혁신 시너지"中, 무역갈등 커지자 언급 자제…반도체·신소재는 '목표 미달' 평가최종목표는 '2049년 美 추월, 세계 1위'…"과잉생산·시장왜곡 부작용" 지적도2025 상하이 오토쇼에 등장한 BYD의 전기차[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금지](서울=연합뉴스) 권숙희 기자 = 2015년 중국이 '세계의 공장'이라는 기존 이미지를 벗고 제조업 혁신 글로벌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비전 '중국제조 2025'(메이드 인 차이나 2025)를 내 건 지 올해로 10년이 됐다. 중국의 '제조업 강국' 중장기 계획의 1단계에 해당하는 이 비전의 웅장한 목표와 그 성과는 중국 저력을 평가할 수 있는 가늠자라는 측면에서 최근 미중 무역전쟁이 격화하는 가운데 더욱 주목받고 있다. 중국은 이제 전기차와 조선 등 일부 분야에서는 세계 시장을 압도적으로 선도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로봇, 인공지능(AI) 등의 성장세도 연일 세계를 놀라게 하고 있다. 다만 반도체와 신소재 등 첨단 기술 분야에서는 여전히 선진국의 벽을 넘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018년 미중 무역전쟁 당시 도널드 트럼프 미국 1기 행정부가 '중국제조 2025'의 핵심 과제를 주요 타깃으로 삼자 이후 중국 공식 석상에서는 관련 성과에 대한 언급이 자제되기도 했다.중국의 스타트업이 만든 생성형 AI 챗봇 딥시크[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금지] 10년 만에 기술 선도 '성과'…세계 전기차 50%·조선 수주 70%·배터리 60% 장악에 '딥시크'까지 출시 10년 전 중국의 리커창 총리는 중국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변모시키기 위해서는 '제조에서 창조', '속도에서 품질', '단순 제품에서 브랜드'로의 전환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때 중국 국무원이 제시한 10대 핵심 산업은 ▲ 차세대 정보기술(반도체) ▲ 고급 디지털 선반 및 로봇 ▲ 항공우주장비 ▲ 해양플랜트 및 고급 선박 ▲ 선진궤도 교통장비(고속철도) ▲ 에너지 절약 및 신에너지 자동차 ▲ 전력 장비 ▲ 신소재 ▲ 바이오의약 및 고성능 의료기기 ▲ 농업 기계 장비 등이다. 이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