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에어포스 원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로이터] [헤럴드경제=김벼리 기자] 미국이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스마트폰, 컴퓨터 등을 제외한 것과 관련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자의적이고 거대 기업에 편향됐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비판했다.12일(현지 시각) 미국 일간 WSJ는 ‘관세에 관해서는 팀 쿡처럼 하는 게 맞았다’는 제목의 사설과 기사를 통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예외 조치를 비판했다.WSJ은 “이번 관세는 현대 생활의 필수품인 스마트폰을 훨씬 높은 가격에 살 뻔했던 소비자들에게 좋은 소식이지만 진짜 승자는 이런 상품들을 해외에서 조립해 왔고 이제는 (관세)보류까지 받아낸 거대 기업들”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애플의 팀 쿡을 필두로 델 테크놀로지의 마이클 델, 엔비디아의 젠슨 황, 휴렛팩커드와 TSMC의 최고경영진과 주주들이 최대 승자들이라고 전했다.WSJ은 팀 쿡의 경우 중국에서 전략적인 투자를 해서 환심을 사는 동시에 트럼프 대통령의 1기 행정부에서도 관세 면제를 받아내는 등 미·중 사이에서 줄타기를 능숙하게 했다고 설명했다.또한 그가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취임식에 개인적으로 100만 달러(약 14억원)를 기부했다는 점도 언급했다. WSJ은 “가능한 관세 유예를 얻어내 주주의 이익을 보호하는 것이 그들의 직업인 만큼 나무랄 일을 아니”라면서도 “관세는 미국 노동자를 돕는 것처럼 포장됐지만, 정치권과 연줄이 있는 권력자들에게 유리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것이 트럼프 대통령이 스마트폰과 몇몇 전자제품을 관세 대상에서 제외하면서 내놓은 메시지”라고 꼬집었다.아울러 WSJ은 아이폰 조립 공정의 노동자를 비롯한 수백만 개의 일자리가 미국으로 돌아올 것이라는 트럼프 행정부 인사들의 말이 ‘환상’에 불과했다는 것도 이번 관세 면제 조치가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미국에 그런 일을 할 수 있는 노동력도 없을뿐더러, 설령 그런 일자리가 생기더라도 실제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은 조립 공정이 아니라 디자인과 고성능 부품의 공급이라는 것이다.소비자 가격 상승에 따른 정치적 비난을 피하려는 의도가 관세 면제에 담긴 만큼, 관세로 인한 부담을 외국이 감당하게 된다는 주장도 허구였음이 드러났다고 WSJ은 비꼬았다.또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로 인해 미국 기업의 경쟁력 소닉모터스 도곡점의 정비사는 대부분 경력 20년 이상의 베테랑이다(위쪽 사진). 밖에는 정비를 기다리는 슈퍼카가 줄지어 있고(왼쪽 아래), ‘퀸즈베리 도넛하우스’도 입점해 있다(오른쪽 아래). 한국앤컴퍼니그룹 제공 브랜드 전용 계측 장비 갖추고 정식 수입 안 된 차량도 손봐 퀸즈베리 도넛하우스 입점 등 청년층 취향 맞춰 ‘문화 접목’ “고압적 카센터 이미지 탈피 전시·워크숍 등 콘텐츠 개발” 유럽에 온 것 같은 느낌이 드는 카페와 와인 식당들이 즐비한 서울 양재천변 ‘매봉역 카페거리’를 걷다 보면 조금은 이질감이 드는 공간이 나온다. 한국앤컴퍼니그룹 계열사 한국카앤라이프에서 운영 중인 슈퍼카 및 하이엔드 자동차 전문 정비소 ‘소닉모터스 도곡점’이다.기자가 찾은 지난 2일에도 시선을 사로잡는 형형색색의 스포츠카들이 늘어서 있었다. 페라리 F8 스나이더(2020년식), 페라리 488 피스타(2019년식), 벤틀리 컨티넨탈 GT(2020년식), 포르쉐 911 GT3(2021년식) 등 하나같이 고가 차량들이었다. 정비사들은 이들 차량 사이를 분주히 오가며 능숙한 손놀림을 보탰다.소닉모터스는 이미 슈퍼카나 클래식카 소유자 사이에서 유명한 곳이다. 페라리, 부가티, 람보르기니 등 럭셔리 하이퍼카 정비를 믿고 맡길 수 있는 극소수의 전문 시설 중 하나로 정평이 나 있다. 소닉모터스 차봉재 도곡점장(사진)은 “메르세데스-벤츠의 1991년식 ‘G바겐’처럼 희소성이 높은 모델 정비도 가능하다”며 “통상적인 정비를 넘어 일반 서비스 센터에서 다루기 어려운 희귀 모델의 튜닝 및 단종 부품 관리 작업도 한다”고 말했다.이는 소닉모터스에 ‘슈퍼카 정비 1세대’로 불리는 20년 이상 경력의 정비 전문가들이 포진해 있기 때문이다. 차봉재 도곡점장도 자동차 정비·튜닝 분야에서만 35년 경력자다.슈퍼카와 클래식카는 일반 차량과는 달리 부품 조달이 어렵고 정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