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회원정보
로그인 회원가입
  • 질문답변
  • 질문답변

    CONTACT US 043)531-1980

    평일 09시 - 18시
    토,일,공휴일 휴무

    질문답변

    SCMP "러 전승절 김정은 모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nion
    댓글 0건 조회 34회 작성일 25-04-13 14:23

    본문

    SCMP "러 전승절 김정은 모스크바 방문 가능성"현실화하면 3국 지도자 공개 석상 최초 등장"美 압박에 맞서는 강력한 연대 및 도전 메시지 될 것"[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러시아의 전승절인 5월 9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만날 가능성이 있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사진=AFP)전승절은 러시아 최대 국경일로, 올해는 제2차 세계대전 승리 80주년을 기념하는 열병식이 열린다. 이에 따라 시 주석과 또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 등 많은 아시아 지도자들을 초대했다고 러시아 크렘린궁은 밝혔다. 이어 구체적인 참석자 명단은 추후 발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소 12개국 이상의 정상들이 모스크바에 모일 것으로 보인다고 SCMP는 내다봤다. 이런 상황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향후 몇 달 내에 러시아를 방문할 것으로 전망되며, 그 시기가 전승절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다음 달 9일 북·중·러 지도자들이 러시아에서 회동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김 위원장의 전승절 참석 가능성은 지난해 말부터 불거졌다. 푸틴 대통령이 지난해 6월 평양을 깜짝 방문했을 때 김 위원장을 모스크바로 초청했기 때문이다. 이에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무차관은 지난 달 북한을 방문했을 당시 김 위원장의 러시아 방문 준비를 논의했으며, 현재 이에 대한 준비가 진행 중이라고 타스통신은 전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도 김 위원장에 대한 푸틴 대통령의 초청은 “유효하며, 현재 외교 채널을 통해 조율 중”이라면서도 “공식 발표는 아직 시기상조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공식적으로 모스크바를 방문한 적은 없지만, 2019년과 2023년 전용 열차를 타고 러시아 극동 지역을 방문한 바 있다. SCMP는 “만약 김 위원장이 시 주석, 푸틴 대통령과 함께 단상에 오른다면, 이는 세 정상이 사상 처음으로 공개 석상에 동반 등장하는 것”이라며 “미국의 압박에 맞서는 강력한 연대 및 도전 메시지를 보여주는 것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의 극동연방대학교 아르템 루킨 교수도 “북한의 최고 지도자가 다수 국가 정상들이 참석하는 다자 국제행사에 참여한 적이 없는 만큼, 김 위원장이 5월 9일 전승절 행사에 SCMP "러 전승절 김정은 모스크바 방문 가능성"현실화하면 3국 지도자 공개 석상 최초 등장"美 압박에 맞서는 강력한 연대 및 도전 메시지 될 것"[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러시아의 전승절인 5월 9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만날 가능성이 있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사진=AFP)전승절은 러시아 최대 국경일로, 올해는 제2차 세계대전 승리 80주년을 기념하는 열병식이 열린다. 이에 따라 시 주석과 또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 등 많은 아시아 지도자들을 초대했다고 러시아 크렘린궁은 밝혔다. 이어 구체적인 참석자 명단은 추후 발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소 12개국 이상의 정상들이 모스크바에 모일 것으로 보인다고 SCMP는 내다봤다. 이런 상황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향후 몇 달 내에 러시아를 방문할 것으로 전망되며, 그 시기가 전승절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다음 달 9일 북·중·러 지도자들이 러시아에서 회동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김 위원장의 전승절 참석 가능성은 지난해 말부터 불거졌다. 푸틴 대통령이 지난해 6월 평양을 깜짝 방문했을 때 김 위원장을 모스크바로 초청했기 때문이다. 이에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무차관은 지난 달 북한을 방문했을 당시 김 위원장의 러시아 방문 준비를 논의했으며, 현재 이에 대한 준비가 진행 중이라고 타스통신은 전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도 김 위원장에 대한 푸틴 대통령의 초청은 “유효하며, 현재 외교 채널을 통해 조율 중”이라면서도 “공식 발표는 아직 시기상조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공식적으로 모스크바를 방문한 적은 없지만, 2019년과 2023년 전용 열차를 타고 러시아 극동 지역을 방문한 바 있다. SCMP는 “만약 김 위원장이 시 주석, 푸틴 대통령과 함께 단상에 오른다면, 이는 세 정상이 사상 처음으로 공개 석상에 동반 등장하는 것”이라며 “미국의 압박에 맞서는 강력한 연대 및 도전 메시지를 보여주는 것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의 극동연방대학교 아르템 루킨 교수도 “북한의 최고 지도자가 다수 국가 정상들이 참석하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