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회원정보
로그인 회원가입
  • 질문답변
  • 질문답변

    CONTACT US 043)531-1980

    평일 09시 - 18시
    토,일,공휴일 휴무

    질문답변

    'K-휴머노이드 연합' 출범식…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nion
    댓글 0건 조회 19회 작성일 25-04-10 16:37

    본문

    'K-휴머노이드 연합' 출범식… 'K-휴머노이드 연합' 출범식…서울대·KAIST·레인보우로보틱스 등 참여로봇 AI 공용 모델·AI 반도체·배터리 등 휴머노이드 핵심기술 개발스타트업·인력 등 양성하고 공급·수요기업간 협력 강화악수하는 유니트리 G1(라스베이거스=연합뉴스) 신현우 기자 =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5 개막인 지난 1월 7일 오전(현지시간)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글로벌 기자간담회가 열린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퐁텐블루 호텔 엔비디아 전시관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유니트리 G1이 관람객과 악수하고 있다. 2025.1.8 nowwego@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휴머노이드 개발을 위한 글로벌 빅테크들의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정부가 2030년 글로벌 최강국을 목표로 30여개 산학연이 참여하는 협력체를 띄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0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K-휴머노이드 연합 출범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휴머노이드는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인간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는 로봇으로, 테슬라,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MS), 엔비디아 등 빅테크들이 천문학적인 투자를 통해 상용화를 위한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AI 전문가들은 생성형 AI에 이어 '물리적(physical) AI'의 시대가 곧 도래할 것이며, 빅테크들의 차기 'AI 전쟁터'로 휴머노이드를 지목하고 있다. 한국은 각종 세계 경진대회에서 꾸준히 입상하는 등 기술적 잠재력은 있지만, 미국, 중국 등에 비해 투자 규모나 인력 등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정부는 글로벌 빅테크들을 따라잡기 위해 휴머노이드 생태계의 역량 결집이 필요하다고 보고 산학연이 가진 장점과 역량을 모아내기 위해 K-휴머노이드 연합을 조직하기로 했다.K-휴머노이드 연합 참여 기관[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날 출범한 K-휴머노이드 연합에는 40여개 산학연 기관이 참여했다. 서울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포항공대, 연세대, 고려대 등 AI 개발 그룹과 레인보우로보틱스, 에이로봇, 홀리데이로보틱스 등 로봇 제조사들과 함께 위로보틱스, 블루로빈, 로브로스, 엔젤로보틱스, 뉴로메카, 두산로보틱스, LG전자, HD현대로보틱'K-휴머노이드 연합' 출범식…서울대·KAIST·레인보우로보틱스 등 참여로봇 AI 공용 모델·AI 반도체·배터리 등 휴머노이드 핵심기술 개발스타트업·인력 등 양성하고 공급·수요기업간 협력 강화악수하는 유니트리 G1(라스베이거스=연합뉴스) 신현우 기자 =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5 개막인 지난 1월 7일 오전(현지시간)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글로벌 기자간담회가 열린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퐁텐블루 호텔 엔비디아 전시관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유니트리 G1이 관람객과 악수하고 있다. 2025.1.8 nowwego@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휴머노이드 개발을 위한 글로벌 빅테크들의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정부가 2030년 글로벌 최강국을 목표로 30여개 산학연이 참여하는 협력체를 띄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0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K-휴머노이드 연합 출범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휴머노이드는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인간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는 로봇으로, 테슬라,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MS), 엔비디아 등 빅테크들이 천문학적인 투자를 통해 상용화를 위한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AI 전문가들은 생성형 AI에 이어 '물리적(physical) AI'의 시대가 곧 도래할 것이며, 빅테크들의 차기 'AI 전쟁터'로 휴머노이드를 지목하고 있다. 한국은 각종 세계 경진대회에서 꾸준히 입상하는 등 기술적 잠재력은 있지만, 미국, 중국 등에 비해 투자 규모나 인력 등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정부는 글로벌 빅테크들을 따라잡기 위해 휴머노이드 생태계의 역량 결집이 필요하다고 보고 산학연이 가진 장점과 역량을 모아내기 위해 K-휴머노이드 연합을 조직하기로 했다.K-휴머노이드 연합 참여 기관[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날 출범한 K-휴머노이드 연합에는 40여개 산학연 기관이 참여했다. 서울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포항공대, 연세대, 고려대 등 AI 개발 그룹과 레인보우로보틱스, 에이로봇, 홀리데이로보틱스 등 로봇 제조사들과 함께 위 'K-휴머노이드 연합' 출범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