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회원정보
로그인 회원가입
  • 질문답변
  • 질문답변

    CONTACT US 043)531-1980

    평일 09시 - 18시
    토,일,공휴일 휴무

    질문답변

    유전 질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nion
    댓글 0건 조회 17회 작성일 25-04-10 07:12

    본문

    유전 질환인 알레르기성 비염은 봄철 꽃가루가 흩날리기 시작하면서 더욱 심해진다.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벚꽃이 만개하는 봄철에는 꽃가루도 많이 흩날린다. 꽃가루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심지어 외출도 꺼려진다. 이미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났다면 증상을 가라앉히는 것도 쉽지 않다. 원인 물질에 계속 노출되고 면역력까지 떨어진 상태라면, 알레르기 증상도 상당 기간 지속되기 쉽다. 특히 유전 질환인 알레르기성 비염은 봄철 꽃가루가 흩날리기 시작하면서 더욱 심해진다.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20~25%가 알레르기 비염을 앓고 있고, 특히 14세 이하 청소년과 어린이 가운데는 10명 중 4명이 비염을 앓고 있다. 알레르기 질병인 천식도 마찬가지고, 알레르기 결막염과 피부염도 봄철에 더욱 극심해진다. 봄철 알레르기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꽃가루 날리는 장소 피하기알레르기에 약한 사람들은 꽃가루가 많이 날리는 장소를 피해야 한다. 꽃가루나 황사 등은 알레르기 유발 물질인데 이런 물질이 많아지는 시기에는 될 수 있으면 실내에 머무는 게 좋다. 외출할 때는 목을 덮는 긴팔 옷과 황사마스크, 장갑 등을 착용해 꽃가루나 황사가 피부에 닿은 것을 가능한 한 막아야 한다. 특히 꽃가루가 많이 날리는 날에는 외출 후 깨끗이 씻고, 입었던 옷도 세탁하는 것이 좋다.◆ 코 분무기 등 처치기구 사용 항히스타민제나 스테로이드 성분의 코 분무기 등은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항히스타민제나 스테로이드 성분의 코 분무기 등은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전문가들은 "환자들은 알레르기 시즌이 시작되기 전부터 코 분무기를 사용하는 게 좋다"고 말한다. 이후 알레르기 시즌이 끝날 때까지 몇 주 동안 꾸준히 사용하면 콧물과 재채기 등의 증상이 눈에 띄게 편해진다.◆ 알레르기 주사 등 면역 요법알레르기 증상으로 병원 진료를 받으면, 알레르기 주사도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이미 나타난 알레르기 증상을 바로 가라앉히진 못한다. 몇 개월 동안 소량의 알레르기 물질을 주입하여 신체가 적응하게 만드는 예방법의 일종이다. 번거로운 방식이긴 하지만 효과가 몇 년에 걸쳐 지속된다는 게 장점이다.◆ 외출 후 잘 씻고 청결에 주의 외출 후에는 옷을 잘 지난 4일 미 항공우주국(NASA)의 고해상도 지구관측 위성 랜드셋9이 촬영한 경북 지역의 모습. NASA는 빛의 대역폭 설정을 통해 불에 탄 산림과 그렇지 않은 곳을 선명하게 구분했다. 사진 NASA 어스 옵서버토리. 지난 3월에 발생한 경북 지역의 산불 규모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위성 사진이 8일 공개됐다. 발화지인 경북 의성부터 동해안까지, 한반도 동남부가 칼에 베인 듯 동서로 긴 상흔이 남은 모습이다. 해당 사진은 NASA의 고해상도 지구관측 위성 랜드셋9이 지난 4일 촬영했다. NASA는 가시광선과 단파 적외선 등 여러 빛의 대역을 활용해 불에 탄 곳(적색)과 타지 않은 곳(녹색)을 구분했다고 설명했다. 그 결과, 산불영향구역 안의 산림 대부분이 불에 탄 것으로 드러났다. 미 항공우주국(NASA)가 한국 산불 발생 상황을 보여주는 지난 22일 위성 사진을 27일 공개했다. 사진 NASA 어스 옵서버토리. 앞서 NASA는 의성 산불이 발생한 다음 날인 22일, 안동 근처에서 큰 연기 기둥을 관측했다며 위성 사진을 공개했다. 또한 '화재 및 열 이상 현상'이 나타난 지점을 토대로 25일에 산불이 동해안까지 확산한 것을 감지했다고 한다. NASA는 "약한 비와 함께 산불이 진화되고, 연기가 걷힌 뒤에야 동서로 80㎞에 달하는 산불 피해 지역에 한눈에 드러났다"고 밝혔다. ━ "산불로 인한 온실가스, 차 3400만대 서울-부산 왕복 수준" 미 항공우주국(NASA) 위성에 감지된 화재 및 열 이상 현상 발생 지점. 사진 NASA 어스 옵서버토리 이번 산불 규모는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치로도 짐작할 수 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지난달 21~30일 사이 경북·경남·울산에 발생한 영남 산불로 인해 366만톤(t)의 온실가스가 배출됐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8일 발표했다. 산불영향구역(4만8239㏊)을 토대로 나무의 잎과 가지가 불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