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회원정보
로그인 회원가입
  • 질문답변
  • 질문답변

    CONTACT US 043)531-1980

    평일 09시 - 18시
    토,일,공휴일 휴무

    질문답변

    이재현 CJ그룹 회장(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nion
    댓글 0건 조회 22회 작성일 25-04-09 23:33

    본문

    이재현 CJ그룹 회장(오른쪽 첫번째)이 일본 도쿄를 방문해 현지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CJ그룹 제공 "일본에 다시 불붙은 한류 열풍은 단순한 유행이 아닌 K컬처 글로벌 확산의 결정적인 기회다. 비비고, 콘텐츠 등 이미 준비된 일본 사업들이 이 기회를 놓치면 안 된다." 9일 CJ그룹에 따르면 이재현 CJ 회장은 지난 2일부터 3일간 일본 도쿄에 위치한 일본지역본부를 방문한 자리에서 "현지화와 글로벌 인프라 구축을 가속화해 경쟁력을 높이고, 세계 시장으로 빠르게 수요를 넓혀 글로벌 리딩 컴퍼니로 도약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회장은 이번 현장 경영에서 일본 엔터테인먼트 및 유통·금융 업계 주요 인사들과 회동하며 그룹의 글로벌 사업 확대 가능성을 모색했다. 이 회장의 올해 첫 글로벌 현장 행보다. 이번 현장경영에는 김홍기 CJ 대표, 이석준 CJ 미래경영연구원장, 윤상현 CJ ENM 대표 등 그룹 핵심 인사들이 동행했다. 이 회장은 현장 및 화상으로 참석한 경영진들에게 올리브영의 일본 진출 등 신사업기회를 발굴하고, 로컬 파트너들과 협력을 통해 기존 사업의 경쟁력을 높일 것을 주문했다. 최근 일본에서는 기존의 '한류 열풍'을 뛰어넘는 K트렌드가 확산하고 있다. 과거 한류가 K콘텐츠와 K팝 중심이었다면, 최근의 K트렌드는 식품·뷰티·패션 등 라이프스타일 전반으로 생태계를 확장했다. 또, 이 회장은 사사키 다카시 TBS홀딩스 회장, 아베 류지로 사장 등 TBS그룹 주요 경영진을 만나 양사의 파트너십을 재확인하고 협업 방안을 논의했다. 이어 오카후지 마사히로 이토추상사 회장, 이마이 세이지 미즈호 파이낸셜그룹 회장, 카토 마사히코 미즈호 은행장 등과 회동해 사업 협력 분야를 논의했다. 이 회장은 일본 경제와 통화·금융의 최고 전문가 중 하나로 꼽히는 호시 다케오 도쿄대 교수를 비롯해 한일 양국 문화콘텐츠 전문가들도 만나 경제환경과 트렌드 변화에 따른 그룹 사업 확대 기회를 모색했다. CJ그룹 이 기사는 2025년04월09일 16시45분에 마켓인 프리미엄 콘텐츠로 선공개 되었습니다. [이데일리 마켓in 송재민 기자] SK그룹이 추진 중인 대형 자산 매각 딜에서 또다시 한앤컴퍼니(한앤코)의 이름이 거론되고 있다. 과거 MBK파트너스가 주도하던 굵직한 딜의 중심에 이제는 한앤코가 자리하고 있다는 평가다. 최근 연이어 SK 계열사 인수에 나서며 ‘SK 전문 투자자’로 부상한 한앤코는 이번에도 SK실트론 인수전에 나서며 사실상 SK그룹의 핵심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사진=한앤컴퍼니) 9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SK그룹 지주사인 SK㈜는 최근 주요 사모펀드와 접촉하며 SK실트론 경영권 매각 방안을 타진하고 있다. 현재 거론되는 매각 지분은 SK㈜가 직접 보유한 51%와 총수익스와프(TRS) 계약을 통해 확보한 19.6% 등 총 70.6%에 이른다. 매각 몸값으로는 5조원대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번 SK실트론 매각은 SK그룹의 사업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전략과 맞물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SK는 비핵심 사업 매각을 통해 핵심 성장 영역에 자원을 집중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실트론 매각을 본격화한 것으로 풀이된다.한편 업계에서는 이번 거래를 두고 사모펀드 판도에 변화가 생기고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대표적인 대형 사모펀드(PEF) 운용사 중 하나였던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 사태 이후 금융당국의 집중 견제를 받고 있는 가운데, 한앤코가 그 빈자리를 빠르게 메우고 있다는 평가다. 실제로 MBK는 홈플러스 인수 이후 매각 실패와 실적 부진 등으로 운용 전략에 대한 비판을 받으며, 국내 PEF 시장에서 입지가 약화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반면 한앤코는 지난해 7월 4조7000억 원 규모의 4호 블라인드펀드를 결성하며 공격적인 투자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해당 펀드는 1차 결성 이후부터 SK엔펄스 파인세라믹스 사업부, SK스페셜티, SK엔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