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회원정보
로그인 회원가입
  • 질문답변
  • 질문답변

    CONTACT US 043)531-1980

    평일 09시 - 18시
    토,일,공휴일 휴무

    질문답변

    편집자 주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nion
    댓글 0건 조회 2회 작성일 25-04-06 14:46

    본문

    편집자 주 '기후로운 경제생활'은 CBS가 국내 최초로 '기후'와 '경제'를 접목한 경제 유튜브 프로그램입니다. 한국의 대표 기후경제학자 서울대 환경대학원 홍종호 교수와 함께합니다. CBS 경제 전문 유튜브 채널 '경제연구실'에 매주 월/화/수 오후 9시 업로드됩니다. 아래 녹취는 일부 내용으로, 전체 내용은 '경제연구실' 채널에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방송 : 유튜브 CBS 경제연구실 '기후로운 경제생활' ■ 진행 : 홍종호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 대담 : 최서윤 CBS 경제부 기자 ◆ 홍종호> 기후의 눈으로 경제를 읽다. 안녕하세요 CBS 기후로운 경제생활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저는 진행을 맡은 홍종호입니다. 세계 각지에서 벌어진 기후 현안 전해드리는 주간 기후 브리핑 시간입니다. 오늘도 CBS 경제부 최서윤 기자 나와 계세요. 안녕하세요. ◇ 최서윤> 안녕하세요.◆ 홍종호> 정말 여러모로 힘든 한 지난 한 주였습니다. 초대형 산불부터 미국발 관세 폭탄 예고, 게다가 서울에서 땅꺼짐 사고까지 생겼어요. 희생자 유족분들에게 심심한 위로의 말씀 전하면서 얘기 시작해야겠습니다.◇ 최서윤> 네. 오늘 주제입니다. 내가 발 딛고 있는 땅이 언제든 꺼질 수 있다면.특히 사고 영상이 그대로 전해져서 많은 분들이 가슴 아파하셨어요. 월요일 저녁 퇴근길에 통행량 많은 도로에서 그런 일이 생길 거라고 누가 상상이나 했겠습니까? 지난 3월 24일 서울 강동구 명일동에서 오후 6시 29분경 갑작스럽게 발생한 싱크홀 즉 땅꺼짐 사고로 운전 중 지하에 그대로 매몰된 30대 오토바이 운전자 박모 씨가 결국 사고 발생 약 17시간 만인 이튿날 오전 11시 22분쯤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무려 6차선 도로 중에서 중앙선까지 넘어서 4개 차선을 아우르는 큰 원 모양의 싱크홀이 발생했어요. 지름이 20미터, 깊이가 18미터에 달한다고 합니다. CBS 경제연구실 유튜브 캡처 미국 미시간주 포드 본사.미 포드 홈페이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수입 자동차 관세' 카드를 통해 글로벌 통상 환경의 우위 점하기에 나섰지만, 정작 미국산 자동차의 글로벌 경쟁력이 취약해 득보다 실이 더 많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오히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미국 내 자동차 시장이 위축될 가능성이 나오는 가운데, 미국산 제품에 대한 거부운동 등으로 수출 경쟁력이 취약해질 가능성도 나오고 있다.6일 유럽자동차공업협회(ACEA)에 따르면 미국 포드는 올 1~2월 유럽시장 점유율이 3.1%로 글로벌 완성차 개별 브랜드 중 13위에 그쳤다. 또 테슬라는 1.4%로 작년 동기보다 1.1%포인트(p) 급락했고, 스텔란티스 산하 미 브랜드인 지프는 1.3%에 머물렀다.일본서도 상황은 비슷하다. 일본자동차수입조합(JAIA)에 따르면 작년 회계연도(2024년 4월2025년 3월) 지프가 9578대로 수입차 브랜드 중 8위에 오른 게 최고 순위다. 쉐보레(497대), 캐딜락(468대), 포드(186대) 등은 모두 20위권을 벗어나 고급차와 대중차 모두 힘을 쓰지 못했다.인도서도 일본 스즈키와 현지 업체인 마루타 합작사인 마루타 스즈키가 40%가량의 점유율로 1위를 공고히 하는 가운데, 미국차 브랜드들은 현대차 등에도 밀려나는 추세다. 제네럴모터스(GM)은 인도 시장 부진으로 현대차에 현지 공장을 매각했다. 동남아 지역에서도 도요타·현대차 공세에 밀리는 형국이다.한국 시장도 마찬가지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에 따르면 작년 연간 미국 브랜드의 국내 판매량은 테슬라(3위)를 제외하면 단 1개의 브랜드도 수입차 톱10 안에 들지 못했다. 포드가 3853대로 12위에 오른 정도이며, 지프는 2628대로 전년보다 41.7%, 쉐보레는 1461대로 73.9%, 캐딜락은 666대로 31.7% 각각 급감했다.중국서는 GM이 상하이차와 합작사를 설립해 시장을 주도하고 있지만, 작년엔 상반기 대규모 적자에 구조조정을 단행할 것이란 소식이 전해지고 있다.미국차의 글로벌 판매 부진은 관세와 무방하게 대중·고급차 브랜드 모두 경쟁에서 밀렸기 때문이라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캐딜락, 링컨 등은 메르세데스 벤츠, BMW, 등 독일 브랜드 대비 경쟁력이 떨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