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링크구매
애플은 중국 54% 관세, 삼성은 베트남 46% 관세 '직격타'ⓒ AFP=뉴스1(서울=뉴스1) 김정현 기자 = 애플과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사업이 트럼프발 상호관세의 직격탄을 맞게 됐다. 양사가 스마트폰 생산기지를 중국·베트남에서 관세가 비교적 적은 인도로 생산기지 이전을 가속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뉴욕증시에서 3일(현지시간) 애플 주가는 전일 대비 20.70달러(9.25%) 하락한 203.19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코로나19 발생으로 주가가 폭락했던 2020년 3월 16일(12.86%) 이후 최대 낙폭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전날 발표한 새로운 관세조치가 주가 폭락의 직접적인 원인이다.중국 폭스콘 공장에서 주로 아이폰을 생산하는 애플 ⓒ 로이터=뉴스1中에 주요 생산기지 둔 애플…"美 아이폰 판매 가격 331만원까지 오를 것" 애플은 중국 폭스콘 공장에서는 아이폰을, 베트남에서는 아이패드와 애플워치, 에어팟, 맥북 등을 생산하고 있다. 상호관세에 따라 중국 총 54%, 베트남에는 46%의 관세가 부과된다. 애플의 글로벌 판래양은 지난해 기준 2억 2000만~2억 3000만 대로 추산된다. 6500만~7000만 대 정도가 미국 시장에서 판매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중 대부분은 중국에서 생산된다.월가는 이번 관세정책으로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 가격이 30~40%가량 오를 수 있다고 전망한다. 로젠블렛 증권은 애플이 관세를 가격에 반영할 경우, 아이폰16 프로 맥스 기준 기존 1599달러에서 2300달러(약 331만 원)까지 오를 수 있다고 분석했다.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22일(현지시간) 베트남 하노이 인근의 삼성전자 법인(SEV)을 방문, 스마트폰 생산 공장을 점검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2022.12.23/뉴스1삼성은 베트남에 주요 생산기지…갤Z폴드, 美 판매가 관세 반영시 '400만 원'삼성전자는 중국에서는 갤럭시 스마트폰을 생산하지 않지만, 베트남 타이응우옌성과 박닌성에 모바일 공장을 두고 있다. 베트남 공장에서는 지난해 삼성전자의 글로벌 스마트폰 판매량 2억 2400만 대 중 절반 가량을 생애플은 중국 54% 관세, 삼성은 베트남 46% 관세 '직격타'ⓒ AFP=뉴스1(서울=뉴스1) 김정현 기자 = 애플과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사업이 트럼프발 상호관세의 직격탄을 맞게 됐다. 양사가 스마트폰 생산기지를 중국·베트남에서 관세가 비교적 적은 인도로 생산기지 이전을 가속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뉴욕증시에서 3일(현지시간) 애플 주가는 전일 대비 20.70달러(9.25%) 하락한 203.19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코로나19 발생으로 주가가 폭락했던 2020년 3월 16일(12.86%) 이후 최대 낙폭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전날 발표한 새로운 관세조치가 주가 폭락의 직접적인 원인이다.중국 폭스콘 공장에서 주로 아이폰을 생산하는 애플 ⓒ 로이터=뉴스1中에 주요 생산기지 둔 애플…"美 아이폰 판매 가격 331만원까지 오를 것" 애플은 중국 폭스콘 공장에서는 아이폰을, 베트남에서는 아이패드와 애플워치, 에어팟, 맥북 등을 생산하고 있다. 상호관세에 따라 중국 총 54%, 베트남에는 46%의 관세가 부과된다. 애플의 글로벌 판래양은 지난해 기준 2억 2000만~2억 3000만 대로 추산된다. 6500만~7000만 대 정도가 미국 시장에서 판매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중 대부분은 중국에서 생산된다.월가는 이번 관세정책으로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 가격이 30~40%가량 오를 수 있다고 전망한다. 로젠블렛 증권은 애플이 관세를 가격에 반영할 경우, 아이폰16 프로 맥스 기준 기존 1599달러에서 2300달러(약 331만 원)까지 오를 수 있다고 분석했다.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22일(현지시간) 베트남 하노이 인근의 삼성전자 법인(SEV)을 방문, 스마트폰 생산 공장을 점검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2022.12.23/뉴스1삼성은 베트남에 주요 생산기지…갤Z폴드, 美 판매가 관세 반영시 '400만 원'삼성전자는 중국에서는 갤럭시 스마트폰을 생산하지 않지만, 베트남 타이응우옌성과 박닌성에 모바일 공장을 두고 있다. 베트남 공장에서는 지난해 삼성전자의 글로벌 스마트폰 판매량 2억 2400만 대 중 절반 가량을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중 대부분이 미국과 유럽 등으로 수출된다.삼성전자 역시 관세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하반기 출시 예정인 스마트폰 판매가를 큰 폭으로 인상할 수 밖에 없다는 시각이 많다. 현재 삼성전자 미국 홈페이지에서 1959달러에 판매되는 갤럭시Z폴드6는 관세 40%가 반영되면 2744달
백링크구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