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회원정보
로그인 회원가입
  • 질문답변
  • 질문답변

    CONTACT US 043)535-1980

    평일 09시 - 18시
    토,일,공휴일 휴무

    질문답변

    4일 연평도에서 해병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nion
    댓글 0건 조회 24회 작성일 25-04-05 08:07

    본문

    4일 연평도에서 해병대 연평부대 포7중대 장병들이 K9 자주포 비사격 훈련을 하고 있다.(해병대 제공) (연평도=뉴스1) 허고운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이 결정된 4일, 북한과 가장 인접한 우리 영토인 연평도는 고요 속에서도 긴장감이 감돌았다. 적막한 섬에 울려 퍼진 건 해병대 장병들의 힘찬 구령 소리였다. "하나포 사격 준비 끝!"해병대 연평부대 포7중대 장병들은 이날도 어김없이 K9 자주포를 활용한 비사격 훈련에 돌입했다. 자주포 옆으로 달려가는 병사들의 발걸음은 거침이 없었고, 각자 맡은 임무에 대한 손놀림은 노련했다. 단순한 훈련이 아닌 실전을 가정한 연습이었음을 느낄 수 있었다. 몇 초 후, 포반장으로부터 "목표 지점 타격 완료"라는 보고가 이어졌다. 실제 포탄이 날아간 건 아니었지만, 장병들의 눈빛은 실전을 마주한 군인과 다를 바 없었다. '서북도서 절대사수'가 임무인 연평부대 예하 각 포병중대는 매일 전투배치 및 비사격훈련을 하며 사격 능력을 다진다. 이들은 불시에 조성된 상황에 대응하는 훈련을 반복하며 언제든지 5분 안에 초탄을 발사할 수 있는 즉각사격 준비태세를 갖추고 있다고 한다. 김문기 하나포 포반장(중사)은 평시에도 언제든지 쏠 준비가 될 수 있게 장비 정비를 철저히 하고, 만약 실제 사격해야 하는 일이 생기면 언제 어디서든 사격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 해상에 중국 어선들이 조업하고 있다. 사진은 망향전망대에서 촬영. 이날 훈련은 공교롭게도 헌법재판소가 윤 대통령의 파면을 선고한 오전 11시 22분쯤 진행됐다. 정치적 격변이 휩쓸고 있는 육지와 달리 서해 북방한계선(NLL)과 불과 1.5㎞ 거리인 연평도에는 오직 '서북도서 절대 사수'라는 명령만이 존재했다.포7중대는 실제로 북한과 교전해 승리한 경험이 있는 부대이기도 하다. 2010년 11월 북한이 연평도를 포격한 이후, 해병대는 K9 자주포로 즉각 대응했다. 북한군의 포탄이 떨어졌던 곳 중 하나인 3포상은 현재까지도 원형 그대로 보존돼 안보 교육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승전의 기억이 해병대에게는 '과거의 이야기'가 아닌 '현재의 사명'으로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이날 북한은 '청명절' 휴일로세계사를 바꾼 12가지 물질―물질은 어떻게 문명을 확장하고 역사를 만들어 왔을까?/ 사이토 가쓰히로/ 김정환 옮김/ 북라이프/ 1만7500원 11세기 중국에서 만들어져 유럽의 대항해시대를 열어준 나침반, 푸른곰팡이에서 우연히 발견돼 수많은 생명을 구한 항생 물질, 일회용품의 상징에서 건축의 미래를 바꿀 물질로 떠오른 플라스틱…. 인류와 함께 지내 온 물질을 통해 수천 년의 역사를 한눈에 들여다볼 수 있다. 책은 시대에 맞춰 카멜레온처럼 변하고 진화하며 우리 삶을 발전시킨 12가지 물질의 좌충우돌 변천사를 들려준다. 저자는 일본의 기초과학 명문대인 도호쿠대학교에 진학한 후 50년간 화학 분야를 연구해 왔다. 세상의 모든 것은 화학 물질과 관련되어 있다는 생각으로 전분, 약, 금속, 세라믹, 독, 셀룰로스, 화석연료, 백신, 암모니아, 플라스틱, 원자핵, 자석 등 인류의 역사를 바꾼 대표 물질 12가지를 선정해 소개한다. 사이토 가쓰히로/ 김정환 옮김/ 북라이프/ 1만7500원 인간이 전분으로 생명을 이어온 과정, 약의 발명으로 질병에서 해방된 역사, 금속이 기계 문명을 탄생시킨 혁명적 사건, 현대 사회를 지탱하는 플라스틱, 미래 에너지원이 될 원자핵, 인공지능(AI) 시대를 견인할 자석 등 물질의 미래 가능성까지 해박한 지식으로 역사와 과학을 긴밀하게 연결해 이야기를 펼쳐 나간다. 각 물질이 어떻게 발견됐고 현대 사회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인류의 진보에 얼마나 공헌했는지, 물질과 역사의 관련성에 초점을 맞춰 설명한다. 기초 지식이 없어도 재미있게 읽힌다. 우리 삶은 스마트폰, 자동차, 의약품 등의 발전으로 나날이 풍요로워지고 있다. 인류가 주변 물질의 성질을 이해하고 가공 기술을 익혀 문명을 발전시킨 덕이다. 흙, 돌, 식물, 금속 등의 자연물은 모두 화학 물질이다. 흙을 고온으로 구워서 토기를 만들고 광물을 녹여서 금속을 추출하는 기술은 인류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