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회원정보
로그인 회원가입
  • 질문답변
  • 질문답변

    CONTACT US 043)531-1980

    평일 09시 - 18시
    토,일,공휴일 휴무

    질문답변

    삼성·애플, 생산기지 베트남·中 집중아이폰 판매가 급증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nion
    댓글 0건 조회 4회 작성일 25-04-04 17:43

    본문

    삼성·애플, 생산기지 베트남·中 집중아이폰 판매가 급증…공급전략 차질소비자 부담 확대→시장 위축 우려애플 명동에서 한 방문객이 아이폰16을 살펴 보고 있다. 임세준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으로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이 직격탄을 맞았다.당장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생산 기지인 베트남에 46%의 관세가 부과되면서, 삼성은 글로벌 공급망 전략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중국에 최대 생산 기지를 두고 있는 애플 역시 54%에 달하는 중국 관세를 감당해야 할 처지가 됐다.고관세 여파가 스마트폰 가격 상승으로 줄줄이 이어질 가능성이 커,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공급·수요 판도 자체가 흔들리는 파장이 일 것으로 보인다.4일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 따르면, 미국 백악관은 전 세계 주요 스마트폰 생산지인 베트남, 중국, 인도에 부과하는 상호관세율을 각각 46%, 34%, 26%로 결정했다. 중국은 앞서 부과된 관세 20%까지 더하면 총 54%의 관세를 부과하게 된다.베트남에 스마트폰 주 생산 기지를 두고 있는 삼성은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삼성전자는 베트남 북부 박닌과 타이응우옌에서 갤럭시 S시리즈·Z플립·Z폴드 등 주요 프리미엄 제품과 갤럭시 A시리즈·Z시리즈 등 보급형 제품을 다수 생산하고 있다. 업계는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생산량의 절반가량을 베트남에, 30%가량을 인도에 의존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특히 베트남에 생산되는 갤럭시 제품 상당수는 미국으로 수출된다. 당장 올 하반기에 출시되는 갤럭시 폴더블 시리즈부터 미국 판매 시 관세 영향권에 들 가능성이 크다. 최대 프리미엄폰 시장인 북미에서, 그렇지 않아도 비싼 고가 프리미엄폰의 가격 변동성이 더욱 커지게 된다.중국 외주 생산 역시 부담이 커졌다. 삼성전자가 중국에 외주를 맡겨 생산하는 스마트폰 물량도 최대 54%의 관세 대상이 된다. 삼성은 지난해 스마트폰 출하량 22%를 중국 등 공장에 외주 생산을 맡기는 ODM(제조업자개발생산) 방식으로 생산했다.애플도 타격을 입는 것은 마찬가지다. 애플은 전 세계 아이폰 물량의 90%가량을 중국에서 삼성·애플, 생산기지 베트남·中 집중아이폰 판매가 급증…공급전략 차질소비자 부담 확대→시장 위축 우려애플 명동에서 한 방문객이 아이폰16을 살펴 보고 있다. 임세준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으로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이 직격탄을 맞았다.당장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생산 기지인 베트남에 46%의 관세가 부과되면서, 삼성은 글로벌 공급망 전략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중국에 최대 생산 기지를 두고 있는 애플 역시 54%에 달하는 중국 관세를 감당해야 할 처지가 됐다.고관세 여파가 스마트폰 가격 상승으로 줄줄이 이어질 가능성이 커,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공급·수요 판도 자체가 흔들리는 파장이 일 것으로 보인다.4일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 따르면, 미국 백악관은 전 세계 주요 스마트폰 생산지인 베트남, 중국, 인도에 부과하는 상호관세율을 각각 46%, 34%, 26%로 결정했다. 중국은 앞서 부과된 관세 20%까지 더하면 총 54%의 관세를 부과하게 된다.베트남에 스마트폰 주 생산 기지를 두고 있는 삼성은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삼성전자는 베트남 북부 박닌과 타이응우옌에서 갤럭시 S시리즈·Z플립·Z폴드 등 주요 프리미엄 제품과 갤럭시 A시리즈·Z시리즈 등 보급형 제품을 다수 생산하고 있다. 업계는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생산량의 절반가량을 베트남에, 30%가량을 인도에 의존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특히 베트남에 생산되는 갤럭시 제품 상당수는 미국으로 수출된다. 당장 올 하반기에 출시되는 갤럭시 폴더블 시리즈부터 미국 판매 시 관세 영향권에 들 가능성이 크다. 최대 프리미엄폰 시장인 북미에서, 그렇지 않아도 비싼 고가 프리미엄폰의 가격 변동성이 더욱 커지게 된다.중국 외주 생산 역시 부담이 커졌다. 삼성전자가 중국에 외주를 맡겨 생산하는 스마트폰 물량도 최대 54%의 관세 대상이 된다. 삼성은 지난해 스마트폰 출하량 22%를 중국 등 공장에 외주 생산을 맡기는 ODM(제조업자개발생산) 방식으로 생산했다.애플도 타격을 입는 것은 마찬가지다. 애플은 전 세계 아이폰 물량의 90%가량을 중국에서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은 중국 고관세를 우려해 인도 등 기타 국가에도 생산 기지를 증설하면서 공급망을 분산했다. 앞서 애플은 2027년까지 인도 생산량을 25%까지 끌어올리겠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