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회원정보
로그인 회원가입
  • 질문답변
  • 질문답변

    CONTACT US 043)535-1980

    평일 09시 - 18시
    토,일,공휴일 휴무

    질문답변

    [ 김경림 기자 ]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nion
    댓글 0건 조회 18회 작성일 25-04-04 12:49

    본문

    [ 김경림 기자 ] 셔터스톡 태어나는 신생아 수가 줄어들면서 국민연금 가입자도 줄어 6년 만에 2100만명 대로 떨어졌다.국민연금공단의 최신 공표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국민연금 전체 가입자 수는 2198만4003명으로 나타났다. 전년도인 2023년 12월에는 2238만4787명이었다.국민연금 가입자는 도입 첫해인 1998년 443만명으로 시작해 증가 추세를 보였다. 2018년 말 처음으로 가입자가 2200만명대를 돌파했다.이후 저출생에 따른 가입자 감소가 본격화하면서 2023년 말엔 가입자가 전년 대비 11만3000명가량 줄었다.사업장 가입자 수도 지난해 처음으로 감소했다. 직장인인 사업장 가입자는 2024년 12월 기준 1467만5745명으로, 1년 전인 2023년 12월(1481만2062명) 대비 13만6000명 이상 줄었다.개인 가입자인 지역가입자도 2024년 12월 651만3108명으로, 2023년 12월(671만4114명)보다 20만명 이상 감소하면서 2년 연속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KIZM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우희성 오리건주립대 산림공학 조교수. 우희성 교수 제공 “급변하는 기후변화로 인한 산림 재해는 기존의 전통적인 전공 지식만으로는 대응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첨단 기술은 물론,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두루 갖춘 ‘융합형 인재’ 양성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지난달 22일(현지시간), 미국 오리건주 코밸리스시(市)에 위치한 오리건주립대 산림대학 포레스트리 연구실에서 만난 우희성 교수는 이렇게 말했다. 산림산업 전문가인 그는 지난해 오리건주립대가 산림과 로보틱스 분야를 4대 핵심 연구 과제로 설정하면서 교수진으로 초빙됐다. 우희성 교수(오른쪽)가 포레스트리 연구실에서 개발한 다목적 산림로봇을 시연하고 있다. 다목적 산림로봇은 숲의 모양과 임도의 형태 등을 3차원으로 구현해 산불 및 산사태를 조기에 탐지할 수 있다. 우희성 교수 제공 우 교수가 운영 중인 포레스트리 연구실에는 산림 전공자 1명과 컴퓨터공학, 로봇공학 등 비산림 전공자 4명 등 총 5명의 석·박사 과정 학생들이 함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다양한 전공을 가진 연구진이 협업해 ‘효율적인 산림 관리’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연구실의 궁극적인 목표다. 현재 연구실에서는 숲의 형태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다목적 산림 로봇을 비롯해, 산불연료 측정 애플리케이션(앱), 병충해 진단 인공지능(AI), 드론을 이용한 나무 식재 기술 등 다양한 산림 기술을 개발 중이다. 특히 최근 개발한 산불연료 측정 앱은 미국 빅테크 기업 애플로부터 ‘스마트폰을 활용한 연구 적용 우수 사례’ 중 하나로 선정됐다. 이 앱은 아이폰 카메라로 숲에 방치된 나무더미를 촬영하면, 그 부피를 정밀하게 측정해 산불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우 교수는 “별도의 장비 없이 스마트폰만으로 나무더미의 부피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점이 좋은 평가를 받은 것 같다”고 말했다. 지난달 22일(현지시간), 미국 오리건주 코밸리스시(市)에 있는 맥도널드던 숲을 주행 중인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