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커피에 우유를 넣은 라테가 물만 넣은 아메리카노보다 건강하다. 커피 속 대표적인 항염증 물질인 폴리페놀의 효과가 우유를 넣었을 때 더 증진되기 때문이다. 커피에 풍부한 폴리페놀은 방향족 알코올인 페놀 그룹이 두 개 이상 결합해 있는 물질로, 과일·채소·씨앗 등 식물성 식품에 존재하는 자연 발생 화합물이다. 염증을 방어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염증은 신체 이상이 생겼을 때 우리 몸을 보호하기 위해 발현하는 면역 기제의 결과물로, 만성적으로 생기면 오히려 몸을 공격하는 역할을 한다. 류마티스관절염, 심뇌혈관질환, 암, 우울증, 치매 등을 중증 질환 발병 위험을 높인다. 만성 염증의 원인은 세포 속 산화 스트레스다. 페놀의 수산기(-OH)가 산화를 방지해 산화 스트레스를 낮춘다. 페놀이 여러 개인 폴리페놀은 몸속 염증을 예방하고 DNA와 세포를 보호한다.커피 속 폴리페놀 성분으로는 카페인, 클로로젠산, 다이테르펜 그리고 트리고넬린 등이 있다. 커피엔 생각보다 더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데, 커피 한 잔으로 성인이 하루 음식으로 먹는 평균 폴리페놀 양의 절반을 섭취할 수 있다. 일본의 한 연구팀이 일본인을 대상으로 녹차, 우롱차 등 음료로 섭취할 수 있는 폴리페놀 함량을 분석했는데, 커피가 평균 200g으로 가장 많았다. 폴리페놀 함량이 높다고 알려진 녹차는 평균 115g, 홍차는 96g, 우롱차는 39g 정도였다.폴리페놀만으로도 우리 몸에 매우 좋지만, 우유와 함께 섭취하면 그 효과가 더욱 커진다. 우유 속 단백질이 커피의 항염증 효과 속도를 높이기 때문이다. 덴마크 코펜하겐대 식품과학과 마리안 니센 룬드 교수 연구팀이 실험으로 증명했다. 연구팀은 면역세포에 인위적으로 염증을 유발한 뒤 ▲A그룹에는 폴리페놀과 아미노산을 합한 것을 넣었고 ▲B그룹에는 폴리페놀만 넣었고 ▲C그룹에는 아무것도 넣지 않았다. 그 결과, 폴리페놀과 아미노산을 함께 넣은 A그룹은 폴리페놀만 넣은 B그룹보다 염증이 두 배나 더 적었다. 연구팀은 실제로 커피에 우유를 넣어 확인했고, 커피 속 폴리페놀과 우유 속 단백질의 상호작용으로 항염증 효과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리엔 룬드 교수는 "커피 속 폴리페놀과 우유 속 단백질의 항염증 반응은 [윤성효 기자]▲ 신한균 사기장이 펴낸 소설 책 <신의 그릇>.ⓒ 신한균 "<신의 그릇>은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 차인들의 미학을 송두리째 뒤흔들어 일본 최고의 국보로 이끈 조선사발의 궤적을 쫓은 역사예술소설입니다." 양산 '평산책방' 지기 문재인 전 대통령이 신한균 사기장의 역사소설 <신의 그릇>에 대한 추천 글이다.문 전 대통령은 "임진왜란 때 일본은 조선에서 수많은 도자기와 사기장들을 약탈하고 포로처럼 붙잡아 끌고 갔습니다. 그들의 활약으로 일본의 도자기 산업이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도자기는 일본의 근대화 과정에서 주력 수출상품이 되고 일본을 대표하는 브랜드가 되었습니다. 그 때문에 임진왜란은 도자기 전쟁으로 불리기도 합니다"라고 했다.이어 "조선사발의 역사에는 일찍부터 수준 높은 도자기를 만들었던 우리의 자부심과 함께 민족 수난의 역사가 담겨 있고, 사기장들의 장인정신과 함께 장인들을 천시하여 산업의 근대적 발전을 가로막았던 우리 역사의 교훈이 담겨 있습니다"라며 "작가 신한균 사기장은 평산마을에서 신정희요를 운영하고 있는데, 그가 전통가마에서 구워낸 사발과 다기 그리고 달항아리는 일본에서도 알아줄 만큼 당대 최고의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라고 덧붙였다.책 <신의 그릇>은 일본에서는 '국보', 한국에서는 '막사발'로 불리는 우리의 그릇인 '이도다완(황도)'의 슬픈 비밀과 찬연한 아름다움, 예술혼을 담아 놓았다.신한균 사기장은 "도자기는 도기(옹기, 토기)와 고화도로 구운 자기(청자, 백자, 분청사기)의 합성어다"라며 "16세기까지 지구상의 가장 첨단산업은 자기였다. 그러면 16세기까지 자기를 만들었던 나라는? 한국, 중국, 베트남의 일부 지역이었다. 일본은 임진왜란 때 납치한 조선 사기장(도공) 덕으로 17세기 중반에 자기를 만들 수 있게 되었고, 후에 일본의 유럽 수출품 중 90%가 자기였다. 그때 이룩한 경제력으로 중국, 러시아를 차례로 무너트리고 조선을 식민지로 만들었다"라고 했다.신한균 사기장은 통도사 평산마을에서 그릇을 만들었던 부친 고(故) 신정희(2007년 작고) 선생의 도예를 이어받아 도자기를 굽고 있다. 그는 한국도자기가 세계 도자의 본류라는 사실을 알리기 위해 2008년에 소설 <신의 그릇 I, II>를 발표했고, 이 소설은 일본에 수출되어 일본 신문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