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회원정보
로그인 회원가입
  • 질문답변
  • 질문답변

    CONTACT US 043)531-1980

    평일 09시 - 18시
    토,일,공휴일 휴무

    질문답변

    데뷔후 첫 역사소설 ‘대온실 수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nion
    댓글 0건 조회 13회 작성일 25-04-08 01:54

    본문

    데뷔후 첫 역사소설 ‘대온실 수리 보고서’어떤 작품보다 ‘이해한다’ 표현 자주 써집필 중 다녀온 남극 덕에 시야 넓어져귀찮아도 수리하면 더 견고…‘희망’과 비슷최근 창경궁 대온실에서 만난 소설가 김금희. 이정아 기자[헤럴드경제=이정아 기자] 지난해 10월 장편소설 ‘대온실 수리 보고서’가 발표되고 두 계절이 지났다. 나뭇가지마다 새하얀 매화 꽃봉오리가 피어오르던 봄날, 소설가 김금희(46)는 소설의 배경인 창경궁 대온실로 발길을 옮겼다. 궁의 다른 건축물과는 달리 투명하고 새하얀 근대식 외양의 창경궁 대온실은 그가 오랜 시간 이질적으로 느낀 건물이었다. 햇살이 부서지는 유리천장 아래, 바로 그곳에서 한 권의 소설을 품은 독자들이 그를 기다렸다.대온실 수리 보고서는 출간과 동시에 단숨에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시간의 힘을 믿고 매일매일 죽지 못해 앉아서 썼다”는 작가의 첫 역사소설은, 그의 대표작으로 불릴 만하다는 평단의 극찬을 이끌어냈다. 그렇게 작가를 온전히 잠식했던 이야기가 바깥의 풍경과 어우러지며 숨 쉬었다. 골방에 틀어박혀 소설 작업에 천착하던 시기와 출간 이후 대중의 찬사를 받는 시간 사이에서, 김 작가는 “전혀 예상치 못한 반응”이라며 놀라워했다.창경궁 대온실 [국가유산청]최근 창경궁 대온실에서 북토크를 마친 후 헤럴드경제와 만난 김 작가는 “오롯이 소설 작업에만 몰두하던 시기, 훗날 이곳에서 독자들과 마주하게 되리라고는 상상조차 못했다”고 털어놓는다. 등단 16년 차 작가로, 그동안 펴낸 소설집과 에세이집만 해도 열 권이 훌쩍 넘지만 그는 “감사한 마음이 들면서도, 과연 이런 자리를 가질 만큼 정말 작품을 잘 썼나 스스로 반성하게 된다”고 말했다.대온실 수리 보고서는 “어떤 소설보다 ‘이해한다’라는 표현을 자주 썼다”는 김 작가의 고백이 스며든 작품이다. 그 말은 책 말미에 빼곡히 실린 8쪽 분량의 참고 자료 목록에서도 고스란히 나타난다. 김 작가에게 참고 자료란 단순한 사실 확인을 위한 자료 목록만은 아니었다. 그것은 인물의 내면에 서서히 발을 들여놓고 마침내 그 너머의 이야기까지 길어 올리기 위한 여정이었다. 그는 “이 건조한 목록에는 자료들을 읽다가 마침내 이해에 다다르면 슬픔이 차올라 자리를 박차고 나와 걷던 시간이 담겨 있다”고 전했다.창경궁 대온실 수리 전 전경. [국가유산청]창경궁 대온실 수리 후 전경. [국가유산청]이하 김 작가와의 일문일답.▶오늘 하루 작가님이 창경궁 대온실로 오시기까지, 그 여정이 궁금합니다.“아침에 기함을 하면서 발코니로 나갔어요. 괜히 식물 줄기 자르고 화분에 물 주면서 데뷔후 첫 역사소설 ‘대온실 수리 보고서’어떤 작품보다 ‘이해한다’ 표현 자주 써집필 중 다녀온 남극 덕에 시야 넓어져귀찮아도 수리하면 더 견고…‘희망’과 비슷최근 창경궁 대온실에서 만난 소설가 김금희. 이정아 기자[헤럴드경제=이정아 기자] 지난해 10월 장편소설 ‘대온실 수리 보고서’가 발표되고 두 계절이 지났다. 나뭇가지마다 새하얀 매화 꽃봉오리가 피어오르던 봄날, 소설가 김금희(46)는 소설의 배경인 창경궁 대온실로 발길을 옮겼다. 궁의 다른 건축물과는 달리 투명하고 새하얀 근대식 외양의 창경궁 대온실은 그가 오랜 시간 이질적으로 느낀 건물이었다. 햇살이 부서지는 유리천장 아래, 바로 그곳에서 한 권의 소설을 품은 독자들이 그를 기다렸다.대온실 수리 보고서는 출간과 동시에 단숨에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시간의 힘을 믿고 매일매일 죽지 못해 앉아서 썼다”는 작가의 첫 역사소설은, 그의 대표작으로 불릴 만하다는 평단의 극찬을 이끌어냈다. 그렇게 작가를 온전히 잠식했던 이야기가 바깥의 풍경과 어우러지며 숨 쉬었다. 골방에 틀어박혀 소설 작업에 천착하던 시기와 출간 이후 대중의 찬사를 받는 시간 사이에서, 김 작가는 “전혀 예상치 못한 반응”이라며 놀라워했다.창경궁 대온실 [국가유산청]최근 창경궁 대온실에서 북토크를 마친 후 헤럴드경제와 만난 김 작가는 “오롯이 소설 작업에만 몰두하던 시기, 훗날 이곳에서 독자들과 마주하게 되리라고는 상상조차 못했다”고 털어놓는다. 등단 16년 차 작가로, 그동안 펴낸 소설집과 에세이집만 해도 열 권이 훌쩍 넘지만 그는 “감사한 마음이 들면서도, 과연 이런 자리를 가질 만큼 정말 작품을 잘 썼나 스스로 반성하게 된다”고 말했다.대온실 수리 보고서는 “어떤 소설보다 ‘이해한다’라는 표현을 자주 썼다”는 김 작가의 고백이 스며든 작품이다. 그 말은 책 말미에 빼곡히 실린 8쪽 분량의 참고 자료 목록에서도 고스란히 나타난다. 김 작가에게 참고 자료란 단순한 사실 확인을 위한 자료 목록만은 아니었다. 그것은 인물의 내면에 서서히 발을 들여놓고 마침내 그 너머의 이야기까지 길어 올리기 위한 여정이었다. 그는 “이 건조한 목록에는 자료들을 읽다가 마침내 이해에 다다르면 슬픔이 차올라 자리를 박차고 나와 걷던 시간이 담겨 있다”고 전했다.창경궁 대온실 수리 전 전경. [국가유산청]창경궁 대온실 수리 후 전경. [국가유산청]이하 김 작가와의 일문일답.▶오늘 하루 작가님이 창경궁 대온실로 오시기까지, 그 여정이 궁금합니다.“아침에 기함을 하면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