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회원정보
로그인 회원가입
  • 질문답변
  • 질문답변

    CONTACT US 043)535-1980

    평일 09시 - 18시
    토,일,공휴일 휴무

    질문답변

    이진우 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20회 작성일 25-05-21 08:03

    본문

    이진우 전 육군 수도방위사령관. (헌법재판소 제공) 2025.2.4/뉴스1 (서울=뉴스1) 허고운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해 12·3 비상계엄을 약 한 달 앞두고 11월 9일 '계엄 장성'들과 국방부 장관 공관에서 가진 모임에서 술에 취한 상태로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를 언급했다는 증언이 나왔다. 이진우 전 육군수도방위사령관은 20일 중앙지역군사법원에서 진행된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과 문상호 전 국군정보사령관 공판에 증인으로 출석, "(공관 모임에서) 윤 대통령은 당시 정치 상황과 관련해서 어려움을 호소했고, '한동훈'이라는 이름을 얘기했다"라고 말했다.이 전 사령관은 윤 전 대통령의 구체적인 발언 내용은 소개하지 않았으나, 한 전 대표는 비상계엄 당시 '정치인 체포 리스트'에 포함된 인물이다. 윤 전 대통령이 11월 모임에서 이미 정치인 체포를 구상했을 가능성도 거론된다.이 전 사령관은 "대통령이 많이 취했고, 의기소침한 모습이었다"라며 "'구중궁궐'이라는 단어를 썼던 기억이 나는데, '힘드시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라고 증언했다. 윤 전 대통령은 '왜 이렇게 취했느냐'라는 취지의 한 참석자의 질문에 '별일이 아니다. 걱정하지 말라'라고 답변했다고 한다.이 전 사령관은 또 "제 기억에 대통령이 굉장히 빨리 (술을) 마시고 취했고, 굉장히 늦게까지 (모임을) 했다"라며 "몸이 정상적이지 않으니 불편한 마음도 있었던 것 같다"라고 말했다.당시 모임엔 윤 전 대통령,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이 전 사령관,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 등이 참석했다. 이 전 사령관은 술을 마시지 않았다.이 전 사령관은 모임에서 국회와 선거관리위원회 등 비상계엄 때 군이 출동한 기관들이 이미 거론됐고, 사령관들이 '임무 복창'과 같은 발언을 했다는 곽 전 사령관의 주장에 대해서는 자신의 기억과는 다르다고 반박했다.그는 "부정선거 얘기는 좀 있었던 것 같지만 '확보'나 특정 장소 언급에 대한 얘기는 안 한 것 같다"라며 "임무 복창이라면 뭘(명령을) 주고 그에 대한 답을 하는 게 복창인데 그런 상황은 없었다"라고 말했다.이날 공판에서 이 전 사령관은 "(비상계엄 선포로 국회에 출동했던 당시) 대통령이 의원이란 얘기는 하지 않았지만 ' 수도권에 위치한 한 정수장의 모습이다. 연합뉴스 강이나 댐 등에서 모인 원수는 6~7단계의 정수단계를 거쳐 수돗물로 공급된다. 상수도가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발명품 중 하나로 꼽히는 것도 안전한 수돗물 공급 체계가 인류의 건강과 수명을 획기적으로 발전시키는 데 큰 공을 세웠기 때문이다.그러나 정수 처리를 위해 투입된 화학물질이 물 속 성분과 결합해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생겨나기도 한다. 동식물의 사체나 배설물 등으로 원수에 함유된 유기물이 정수 과정에서 살균소독 물질 염소와 반응하여 생성되는 총트리할로메탄(THMs)이 가장 대표적이다. 총트리할로메탄은 발암물질로 분류된다. 최근 기후위기로 기온이 점점 상승하는 탓에 총트리할로메탄 농도가 기준치를 넘는 경우도 증가 추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 정부와 지자체 등 수도당국들이 기준치를 강화하고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19일 경향신문과 먹는물네트워크가 환경부 국가상수도정보시스템상의 2012~2024년 사이 수질 자료에서 각 정수장별 총트리할로메탄 농도를 확인한 결과, 수돗물 내에서 총트리할로메탄 농도가 국내 기준치인 ℓ당 0.1㎎를 기록한 것은 8회, 0.09㎎가 넘은 사례는 101회, 미국 기준치인 0.08㎎를 넘은 사례는 366회로 집계됐다.현재 한국과 영국, 일본, 캐나다, 프랑스 등은 먹는물의 총트리할로메탄 수질기준을 ℓ당 0.1㎎로 정하고 있다. 반면 미국은 0.08㎎, 독일은 0.05㎎, 네덜란드는 0.025㎎로 더 엄격한 기준을 적용한다. 미국은 한국과 기준치가 같았으나 임신부 대상 실험에서 ℓ당 0.075㎎ 농도의 총트리할로메탄이 포함된 수돗물을 하루 5잔 이상 마신 그룹에서 유산율이 이보다 적은 양을 마신 그룹보다 2배가량 높게 나타난 것이 확인된 뒤 기준치를 강화했다.선진국들이 기준치를 강화하는 추세에 따라 미국 기준치를 놓고 지역별로 비교했다. 광역지자체 단위에서 서울과 제주는 조사기간 ℓ당 0.08㎎를 넘은 사례가 없었다. 전남이 113회로 가장 많았고, 경북(84회), 인천·경기(각 36회, 강원(35회)이 뒤를 이었다. 기초지자체 가운데는 경북 포항이 43회로 가장 많았고, 전남 신안(39회), 경북 영천(23회)이 뒤를 이었다. 전남 진도와 영광에서도 17차례 이 수치를 넘어선 사례가 확인됐다.흔히 소독부산물이라고도 불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