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훈 기자]▲ 1월 19일(현지시간) 도널드
[임상훈 기자]▲ 1월 19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 하루를 앞두고 워싱턴 D.C.의 캐피털 원 아레나에서 열린 대선 승리 축하 집회에 참석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를 반기고 있다.ⓒ EPA 연합뉴스 테슬라와 스페이스X의 최고경영자 일론 머스크, 한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브로맨스를 과시하더니 결별도 드라마틱했다. 트럼프가 야심 차게 밀어붙인 감세와 대규모 지출 법안에 대해 "국가를 파산으로 몰아넣는 길"이라며 공개적으로 반대한 것이 결정적 계기였다. 그리고 한발 더 나아가 이제는 신당 창당을 선언했다. "아메리카당이 여러분에게 자유를 돌려주기 위해." 자신이 소유한 엑스(X)에 올린 창당의 변이다. 트럼프도, 공화당도, 민주당도, 모두가 낡은 국가권력의 한통속이라는 것이다. 이것만으로는 '새 정치'를 보여주겠다고 나선 정치 신인의 전형적 선언에 불과해 보인다.그럼에도 '정치인 머스크'가 내포하는 잠재적 파장은 가볍지 않다. 단지 '세계 최고 부자'의 정치 도전이라는 화제성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만약 성공한다면, 그의 정계 진출은 재력이나 지적 능력, 또는 카리스마의 크기와 무관하게 지금 세계가 마주한 정치권력과 기술자본의 힘의 균형에 근본적 질문을 던지게 한다.머스크의 정치 도전은 기술자본권력이 국가권력에 던지는 본격적 도전의 서막일까. 아니면 최고 권력자 곁에서 달콤함을 맛본 한 개인의 권력욕이 분출된 결과일까. 그의 성패가 어떻게 갈리든, 머스크가 정치 무대에 머무는 동안 우리는 국가와 기술자본 그리고 권력이 교차하는 정치의 실험실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기술자본주의의 중심' 일론 머스크▲ 2023년 6월 16일(현지시간) 테슬라와 스페이스X의 최고경영자인 일론 머스크가 프랑스 파리에서 혁신과 스타트업을 주제로 한 비바 테크놀로지 컨퍼런스에 참석해 생각에 잠겨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기술자본주의는 산업자본주의의 단순한 연장선이 아니다. 물론 기술자본주의는 산업혁명 이후 축적된 자본의 역사적 기반 위에서 등장했다. 증기기관과 석탄, 철강으로 대표되던 산업화가 자본주의의 물질적 토대를 창출했다면, 기술자본주의는 이 토대 위에서 정보·네트워크·플랫폼을 통해 새로운 질적 지배력을 행사한다. 로이터연합뉴스 [서울경제] 가상자산 대장주 비트코인이 뉴욕 증시 강세에 힘입어 사상 처음으로 11만 2000달러를 돌파했다. 위험자산 꼬리표를 뗀 비트코인이 ‘디지털 금’ 대우를 받고 있는 가운데 제도권 편입과 규제 완화 등을 지렛대로 ‘가상자산 허브’로 도약하려는 각국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10일 가상자산거래소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이날 한때 11만 2055달러까지 치솟으며 올 5월에 세운 직전 기록(11만 1999 달러)을 갈아치웠다. 미국이 이날까지 21개 국가에 상호관세 서한을 발송하면서도 부과 시점은 다음 달 1일로 유예하자 뉴욕 증시가 강세를 보인 것이 원동력이 됐다는 분석이다. 미 경제 매체 CNBC 방송은 “금융시장이 위험 선호 모드일 때 투자자들이 기술주처럼 성장 지향 자산에 투자하면 가상자산도 함께 랠리를 펼치는 경향이 있다”고 짚었다.시장에서는 비트코인 강세가 올 하반기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낙관론을 내놓고 있다. 각국에서 비트코인을 포함한 가상자산을 제도권으로 편입하려는 움직임이 뒤따르고 있어서다. 글로벌 최대 금융시장인 미국에서는 ‘친(親)비트코인 대통령’을 자처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3월 비트코인 전략비축 행정명령에 서명하는 등 비트코인을 국가 자산으로 인정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트럼트 대통령 측이 ‘밈코인’을 발행하면서 이해상충 논란을 불러왔지만 투자자들은 가상자산에 대한 정부 차원의 우호적인 시그널로 받아들였다는 해석이 나온다. 이 같은 분위기를 반영하듯 세계 최대 운용사인 미국 블랙록의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가 보유한 비트코인은 전 세계 공급량의 약 3%인 70만 개를 넘어섰다.유럽연합(EU)은 지난해 말 통합 규제 법안(MiCA)을 도입해 가상자산을 제도권으로 품고 ‘규제 명확성’을 확보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현재까지 크립토닷컴·OKX 등 대형사를 포함해 53개 거래소가 MiCA상 운영 허가를 받았다. 전통적인 금융허브로 꼽히는 싱가포르와 홍콩 역시 가상자산 분야에서도 ‘금융 강자’ 입지를 굳히기 위해 정부 차원의 육성책을 내놓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싱가포르의 경우 가상자산 규제 샌드
[임상훈 기자]▲ 1월 19일(현지시간) 도널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