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회원정보
로그인 회원가입
  • 질문답변
  • 질문답변

    CONTACT US 043)531-1980

    평일 09시 - 18시
    토,일,공휴일 휴무

    질문답변

    상장사 10곳 중 1곳 "자사주 10% 이상 보유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nion
    댓글 0건 조회 2회 작성일 25-07-11 23:37

    본문

    상장사 10곳 중 1곳 "자사주 10% 이상 보유 상장사 10곳 중 1곳 "자사주 10% 이상 보유"여권 주도 '소각 의무화' 상법 후속입법 가시화자사주 비중 상위 12개 기업, 반년 새 주가 2배↑11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 3,175.77로 마감한 코스피 지수가 게시돼 있다.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5.4원 오른 1375.4원에 주간 거래를 마감했다. 뉴시스더불어민주당이 자사주 소각 의무화를 담은 상법 개정을 추진하면서, 자사주 보유 비중이 높은 상장사들의 주가가 올해 들어 불기둥을 내뿜고 있다. 이들 기업은 그동안 경영권 방어 등을 이유로 꾸준히 매입한 자사주를 매각하지 않고 있는데, 자사주 매각을 의무화하면 주가가 상승할 것으로 기대되면서 투자자들이 몰리고 있다. 11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전날 기준 자사주 보유 비중이 10%를 넘는 국내 상장사는 229곳(코스피 118개·코스닥 111개사)이다. 전체 상장사(1,779개)의 12.9%로, 국내 상장기업 10곳 중 한 곳이 자사주의 10%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는 뜻이다. 자사주 보유 비율이 50%가 넘는 기업도 인포바인(54.18%)과 신영증권(53.10%) 등 2개사다. 40%대인 곳도 일성아이에스(48.75%), 부국증권(42.73%) 등 5개사다.그래픽=신동준 기자여당은 자사주 소각 의무화를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인 코스피 5000 달성을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할 핵심 교두보 중 하나로 삼고 있다. 그간 국내 기업들은 대주주·경영진이 적은 지분으로도 경영권을 강화하기 위해 자사주 비중을 늘려왔고, 이는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주식 저평가)'의 주요 원인이라는 판단이다.여권은 주주에게 돌아가야 할 회사의 이익이 자사주 매입 등 소수주주의 이익 강화에 이용되고 있다고 보고 자사주 소각 의무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김남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최근 대표 발의한 상법 후속 개정안에 따르면, 상장사가 취득한 자사주는 원칙적으로 1년 이내에 소각해야 하며, 예외적으로 보유할 경우 대주주 의결권은 발행주식총수의 3%로 제한한다. 의무 소각은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자사주에도 소급 적용되는 만큼, 자사주 비중이 높은 기업들의 주가가 치솟고 있는 것이다. 자사주를 소각하면 기업가치는 그대로인데 시장에 유통되는 주식 수가 줄어 자연스럽게 주당상장사 10곳 중 1곳 "자사주 10% 이상 보유"여권 주도 '소각 의무화' 상법 후속입법 가시화자사주 비중 상위 12개 기업, 반년 새 주가 2배↑11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 3,175.77로 마감한 코스피 지수가 게시돼 있다.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5.4원 오른 1375.4원에 주간 거래를 마감했다. 뉴시스더불어민주당이 자사주 소각 의무화를 담은 상법 개정을 추진하면서, 자사주 보유 비중이 높은 상장사들의 주가가 올해 들어 불기둥을 내뿜고 있다. 이들 기업은 그동안 경영권 방어 등을 이유로 꾸준히 매입한 자사주를 매각하지 않고 있는데, 자사주 매각을 의무화하면 주가가 상승할 것으로 기대되면서 투자자들이 몰리고 있다. 11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전날 기준 자사주 보유 비중이 10%를 넘는 국내 상장사는 229곳(코스피 118개·코스닥 111개사)이다. 전체 상장사(1,779개)의 12.9%로, 국내 상장기업 10곳 중 한 곳이 자사주의 10%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는 뜻이다. 자사주 보유 비율이 50%가 넘는 기업도 인포바인(54.18%)과 신영증권(53.10%) 등 2개사다. 40%대인 곳도 일성아이에스(48.75%), 부국증권(42.73%) 등 5개사다.그래픽=신동준 기자여당은 자사주 소각 의무화를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인 코스피 5000 달성을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할 핵심 교두보 중 하나로 삼고 있다. 그간 국내 기업들은 대주주·경영진이 적은 지분으로도 경영권을 강화하기 위해 자사주 비중을 늘려왔고, 이는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주식 저평가)'의 주요 원인이라는 판단이다.여권은 주주에게 돌아가야 할 회사의 이익이 자사주 매입 등 소수주주의 이익 강화에 이용되고 있다고 보고 자사주 소각 의무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김남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최근 대표 발의한 상법 후속 개정안에 따르면, 상장사가 취득한 자사주는 원칙적으로 1년 이내에 소각해야 하며, 예외적으로 보유할 경우 대주주 의결권은 발행주식총수의 3%로 제한한다. 의무 소각은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자사주에도 소급 적용되는 만큼, 자사주 비중이 높은 기업들의 주가가 치솟고 있는 것이다. 자사주를 소각하면 기업가치는 그대로인데 시장에 유통되는 주식 수가 줄어 자연스럽 상장사 10곳 중 1곳 "자사주 10% 이상 보유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