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회원정보
로그인 회원가입
  • 질문답변
  • 질문답변

    CONTACT US 043)531-1980

    평일 09시 - 18시
    토,일,공휴일 휴무

    질문답변

    구글상단작업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nion
    댓글 0건 조회 1회 작성일 25-04-04 03:26

    본문

    구글상단작업 지난해 12월 여객기 참사 이후 공항 안전 문제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졌다. 진심 어린 애도는 다시는 이와 같은 참사가 일어나지 않는 것에서 시작한다. 그러나 현재 새로 공항을 짓겠다는 곳이 전국에 열 곳이다. 신공항 건설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이미 조류 충돌을 비롯한 안전 문제를 지속적으로 제기해 왔다. 이대로라면, 참사는 언제든 다시 일어날 수 있다. 기록팀은 현재 예정 중인 공항 건설이 어떤 안전 문제를 안고 있는지, 왜 참사가 일어날 수밖에 없는지, 생태적인 지역발전은 어떻게 가능한지 기록하고자 한다. <기자말>[희음 기자]▲ 새만금시민생태조사단의 오동필 단장이 찍은 사진으로, 전투기와 민물가마우지가 충돌하는 모습이 담겼다.ⓒ 오동필 "여기 계신 분들에게 질문을 드리고 싶습니다. 얼마 전 군산공항 인근에서 F35 전투기가 독수리와 충돌하면서 동체 착륙을 했다는 걸 알고 계시는지요. 제가 당시 F35가 군산 상공을 나는 모습과 함께 F16 전투기가 조류와 충돌하는 사진을 찍어서 가지고 있는 사람 중 하나입니다. 제가 조류 충돌 사고 장면을 사진 찍을 수 있을 만큼 새만금 인근에 새가 많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지금 이 토론회에서는 군산공항이나 새만금신공항 예정지에서 일어날 수 있는 조류 충돌 관련 이야기는 없는데요, 새만금신공항뿐 아니라 다른 지역의 조류 충돌 사례나 위험성에 대해서 지금까지 다룬 적이 있는지 한번 여쭤보고 싶습니다."지난 3월 21일, 국토교통부(국토부)가 주최한 항공안전 대토론회 자리의 객석에서 터져 나온 질문, 오동필 새만금 시민생태조사단 단장의 목소리다.예정된 1, 2부의 발제 및 토론이 모두 끝난 뒤 플로어로 마이크가 돌았을 때, 그가 손을 높이 들어 어렵사리 발언 기회를 얻어냈다. 오동필 단장은 이 질문을 포함한 여러 묵직한 질문을 쏟아냈다. 차분한 어조였지만 그 속에는 절박함이 배어 있었다.조류 충돌 장면을 목격한 이의 절박한 질문▲ 3월 21일 오후 2시,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국토부가 주최한 항공안전 대토론회가 열렸다. ⓒ 김성이 제공 그는 국토부 관계자가 답변을 해줬으면 한다는 말을 덧붙이며, 현재 운영되는 전국 15개의 공항 중 11개가 적자이고 이 때문에 매년 낭비되는 재정이 수백억 원대라는 사요즈음 하루가 다르게 날씨가 온화해지면서 겨우내 앙상했던 나뭇가지마다 연두색 새잎이 돋아나고 있다. 이 시기 찰피나무(Tilia mandshurica)도 추운 겨울을 나기 위해 겨울눈을 겹겹이 감싸고 있던 갈색 별 모양의 털 껍질을 벗고 새로운 잎을 싹틔운다. 찰피나무는 피나무과 피나무속의 큰키나무로, 우리나라 전역의 숲속과 계곡 주변에서 높이 20m까지 자란다. 나무 모양이 아름답고 잎, 꽃, 열매가 관상용으로도 가치가 높아 정원수나 가로수로도 많이 쓰인다. ‘찰피나무’라는 이름은 찰진 껍질에서 유래되었다. 예로부터 질긴 껍질은 밧줄, 농기구, 생활용품, 옷감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목재도 단단하고 질겨 고급가구나 전통악기인 가야금, 거문고, 아쟁 등의 제작에 사용되어왔다. 보통 5∼7월 꽃차례 하나에 7∼20개의 연노랑 꽃이 피는데, 꿀 생산량이 많아 양봉 농가에서 선호하는 밀원수종으로 각광받고 있다. 게다가 찰피나무 꿀은 맛과 향이 뛰어나고 영양가가 풍부하여 고급 꿀로 인정받고 있다.9∼10월에는 갈색 열매가 맺히는데 둥글고 작고 단단하며 표면에 잔잔한 무늬가 있어 예로부터 염주를 만드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최근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3년간의 연구를 통해 찰피나무 잎 추출물이 피부 보습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밝혀냈다. 또한 미세먼지와 같은 환경 유해 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를 밝혀 이를 특허로 출원했다. 해당 출원은 기술이전을 통해 민간 부문에서 기능성 화장품으로 개발되었으니, 미세먼지가 많아지는 환절기에 우리의 피부 건강도 찰피나무를 통해 지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이렇게 찰피나무는 목재, 약재, 화장품 등 각종 용도로 우리에게 다양한 혜택을 주는 소중한 자원이다. 그러나 인간에게 직접적인 이익을 주는 이런 쓰임새 이외에도 자연에 존재하는 모든 생명체는 제각기 생태계의 건강성을 유지하고 지속 가능하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손연경 국립생물자원관 환경연구관 구글상단작업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