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은진 청년상
곽은진 청년상담센터 위드 공동소장이 3일 서울 마포구 높은뜻광성교회에서 기독청년들의 심리적 불안 실태를 공유하고 있다. 심리상담센터를 찾은 기독청년 중 절반이 불안과 씨름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기독청년들의 불안 지수는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20~25세와 가정을 꾸리는 시기의 31~35세에서 특히 높았다. 청년 상담 사역자들은 “불안과 신앙은 공존할 수 있을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 불안이 커질수록 하나님에 대한 신뢰는 무너지게 된다”며 “신앙 공동체는 청년들의 심리 문제에 공감하며 안전한 대화 공간을 제공해야 한다”고 요청했다.기독교윤리실천운동(기윤실·공동대표 정병오 신동식 이상민)이 3일 서울 마포구 높은뜻광성교회(이장호 목사)에서 연 ‘불안해도 괜찮아, 함께 걷는 WAY’ 콘퍼런스에선 기윤실 청년상담센터가 최근 5년간 국내 기독 청년 248명과 나눈 상담 기록이 공유됐다. 기윤실 청년센터 출범 5주년을 기념해 열린 이번 콘퍼런스에선 곽은진 청년상담센터 위드 공동소장과 김서로 청년희망재무상담소 윙즈 소장이 각각 ‘기독 청년의 심리적, 경제적 불안 실태 및 상담의 효과와 과제’ ‘기독 청년의 경제적 불안 실태와 대응 방안’을 주제로 발표했다.상담 기록을 살펴보면 기독청년들 사이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심리적 어려움은 불안(46%)이었다. 이어 대인관계 어려움(43%) 우울(33%) 가족 문제(30%) 성격 문제(21%) 진로 고민(18%) 등이 뒤를 이었다. 곽 공동소장은 “청년들이 불안을 토로한 배경엔 진로와 결혼의 불확실성, 직장 내 대인관계 등 복합적인 과제가 얽혀 있었다”며 “신앙이 심리적 지지대가 되기도 했으나, 불안감과 신앙 사이에서 죄책감을 경험한 기독청년들도 적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김서로 청년희망재무상담소 윙즈 소장이 기윤실 청년센터WAY 콘퍼런스에서 '기독청년의 경제적 불안 실태와 대응방안'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청년세대가 직면한 불안의 핵심 원인으로는 경제적 압박이 지목됐다. 김 소장은 “돈을 버는 과정(소득), 돈을 쓰는 과정(소비), 돈을 모으는 과정(자산), 돈을 갚는 과정(부채) 등 경제적 과정 전반에서 청년들은 불안을 경험한다”며 “재산 규모와 상관없이 청년들은 경제적 불안과 씨름한다. 대한간호협회와 전국보건의료노동조합이 공동 주관한 ‘올바른 간호사 진료지원 업무 수행에 관한 규칙 시행을 위한 토론회’가 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개최됐다. 대한간호협회 제공 간호 현장에 새바람을 예고한 ‘간호법’이 시행됐지만, 정작 실무를 뒷받침할 진료지원 업무 수행규칙과 교육 방안이 제대로 마련돼 있지 않아 혼선이 커지고 있다. 의사와 간호사 간의 역할 구분이 흐려지고 책임 소재도 불분명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이어진다. 간호사들은 업무 과중과 법적 책임 부담을 호소하며 명확한 제도 확립과 체계적인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대한간호협회(간협)와 전국보건의료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이 공동 주관한 ‘올바른 간호사 진료지원 업무 수행에 관한 규칙 시행을 위한 토론회’가 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개최됐다. 이번 토론회는 이수진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김미애·김예지 국민의힘 의원, 전종덕 진보당 의원이 공동 주최했다.지난달 21일부터 간호법이 시행됐지만 전담간호사의 업무 범위를 담은 하위법령 마련이 미비해 임상 현장이 혼란을 겪고 있다. 의료 현장에선 전담간호사들이 여전히 명확한 업무 범위나 법적 보호 없이 의사의 업무 일부를 수행하고 있다. 지난해 2월 의정 갈등 여파로 전공의 수급이 어려워지면서 상급종합병원을 중심으로 전담간호사 채용이 늘고 전공의 업무를 대신 수행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간협에 따르면 의정 갈등 이후 전담간호사 수는 61.8% 급증했다. 이들 중 상당수는 처방, 시술, 수술동의서 작성 등 의사 업무를 일부 수행하고 있다.오선영 보건의료노조 정책국장은 “의정 갈등 이후 의사 업무가 전담간호사나 일반간호사에게 과도하게 전가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환자 안전에 위협이 되며, 간호사들의 정서적 소진과 불안, 이직으로 이어지고 있다”면서 “숙련된 간호사가 고난도 진료지원 업무를 맡는 구조로 바뀌었으며, 일반 병동 간호사들도 전담간호사 못지않은 진료지원 업무를 하고 있어 구조 개편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간협 조사에 따르면, 전국 병원급 의료기관에서 4만명 이상의 간호사가 진료지원 업무를 수행 중이다. 관리 주체는 간호부서, 진료부서, 행정부서
곽은진 청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