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어기 해제 후 첫 조
페이지 정보

본문
▲ 금어기 해제 후 첫 조
▲ 금어기 해제 후 첫 조업에 나섰던 동해안 채낚기어선이 지난 16일 새벽 강릉 주문진항에 입항하자, 오징어 포장 작업 준비로 항구가 모처럼 분주하다. 황선우 기자 “올해 제발 오징어 풍년이길…” 동해안 대표 어종인 오징어의 금어기 해제 후 첫 조업에 나선 강릉지역 채낚기 어선들이 입항해 모처럼 강릉 주문진항이 기대 반 걱정 반으로 들썩였다. 지난 16일, 17일 이틀간 새벽 5~6시쯤 찾은 강릉 주문진항. 올해 첫 조업에 나섰던 오징어 채낚기 어선들이 입항했다. 16일 2척, 17일에는 4척이 오징어를 싣고 돌아왔다. 이들은 독도 주변 해역에서 조업하다 어획량이 부족해 울산과 부산 인근 바다까지 내려가 조업했다. 16일 주문진항에는 근해채낚기어선 입항 소식에 오징어 조업량 및 상태를 확인하거나 위판 참여를 위해 사람들이 붐볐다. “크기가 작지만, 울산·부산까지 멀리 가서 잡아 온 것 치고는 괜찮다”, “조업량이 예전만 못하다” 등 다양한 말들이 오갔다. 전반적으로는 더 늦기 전에 첫 오징어를 봐서 다행이라는 분위기였다. 첫 조업 성과를 놓고 여러 의견이 나왔지만, 수산업계 관계자들은 차량과 바구니 등을 활용해 먼저 오징어를 사 가기에 바빴다. 수산업계 추산 당일 700급(1만4000마리)이 들어왔다. 다음날인 17일 항구에는 전날보다 채낚기 어선을 기다리는 이들이 많았다. 서울·경기 등 수도권에서 온 수산업자와 주말 관광객들도 눈에 띄었다. 항구 내에는 오징어를 사 가려는 활어차들의 긴 줄이 이어지기도 했다. 인파는 더 붐볐지만, 기대감을 품고 이날 재차 항구를 찾은 이들 중에는 실망감을 드러내는 이가 많았다. 지역 수산업계 종사자들은 “지난해 첫 조업보다 조업량이 비슷하거나 더 적은 것 같다”며 걱정했다. 전날보다 더 많은 어선이 입항한 것을 고려했을 때 양이 적다는 의견이다. 기대보다 낮은 가격대에 혀를 차거나 낙심한 어민들과 마음에 들지 않지만 어쩔 수 없이 구매해 되돌아가는 수산업 종사자들도 있었다. 수산업계 추산 이날은 800급(1만6000마리)의 어획고를 냈다. 이틀 동안 1급(20마리)에 5~6만 원 [앵커] 21대 대통령 선거 후보들이 첫 TV 토론에서 '경제' 분야 현안들을 두고 맞붙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민생위기 극복을 위해 집권하면 곧바로 추경을 편성하겠다고 약속했고,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기업들을 위해 규제 '판 갈이'에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이준엽 기자! 먼저 토론 주요 내용 전해주시죠. [앵커] 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당장 서민경제가 어렵기에 정부가 역할을 해야 한다며, 집권 직후 가능한 범위에서 추경 편성을 통해 서민 내수 경기를 살리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를 향해서는 국가 부채를 감수해서라도 서민의 코로나19 극복 비용을 부담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물었고, 김 후보도 일정 부분 국가부채가 늘어날 수밖에 없다고 답하기도 했습니다. 김문수 후보는 기업이 더 좋은 일자리를 만들 수 있게 규제를 완전히 '판 갈이'하겠다며, 해외로 나가지 않아도 국내에서 맘 놓고 사업하고 일자리를 만들 수 있게 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김 후보는 이 후보에게는 헌법에도, 민법에도 안 맞는 '노란봉투법'을 밀어붙일 생각이냐고 물었고, 이 후보는 대법원 판례와 국제노동기구에서도 인정된 내용이기에 당연히 해야 한다고 답했습니다.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이재명 후보가 말하는 것에는 '어떻게'가 빠져있고 '이렇게 하겠다'만 담겨 있다면서 어려울 때 사이비 종교인이 다가오는 것처럼 위험한 형태라고 맹비난했습니다. 또 이 후보의 이른바 '호텔 경제학' 주장을 겨냥해 돈이 사라지지 않는 '무한동력'이냐고 비꼬자, 이 후보는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이라며 너무 극단적이라고 맞받기도 했습니다. 민주노동당 권영국 후보는 김문수 후보를 향해 윤석열 전 대통령이 12·3 내란의 우두머리라는 사실과 나라 경제에 비수를 꽂은 사실을 인정하느냐고 날을 세웠습니다. 이어 윤 전 대통령을 비호한 사람이라며, 김 후보를 퇴출해달라고 덧붙였는데, 김 후보는 헌법재판소가 탄핵심판에서 '내란죄'를 뺀 걸 모르느냐며 즉답을 피했습니다. [앵커] 4명 후보는 관세 정책이나 국가경쟁력 강화 방안을 두고도 맞붙었다고요? [기자]
▲ 금어기 해제 후 첫 조
- 이전글러·우 회담, 신경전 속 16일로 연기···정상회담은 끝내 불발 25.05.19
- 다음글문학의 세계로: 책과 이야기의 매력 25.05.1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