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편집자 주 = 경북 북부 5
페이지 정보

본문
[※ 편집자 주 = 경북 북부 5개 시·군을 초토화한 '경북 산불'은 축구장 6만3천245개, 여의도 156배 면적을 잿더미로 만들었습니다. 불길은 사그라들었지만, 이재민들의 아픔은 오늘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연합뉴스는 경북산불 피해 현장을 다시 둘러보고 산불 이재민들의 아픔 등을 다룬 기획기사 3건을 송고합니다.] 산불 상황 설명하는 등운스님 (의성=연합뉴스) 김선형 기자 = 지난 16일 오전 경북 의성군 단촌면 고운사에서 주지 등운 스님이 산림청 관계자에게 지난달 경북 산불이 확산한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2025.4.16 sunhyung@yna.co.kr (의성=연합뉴스) 김선형 기자 = "나무에 연둣빛 이파리 피어나는 것 좀 봐요. 우리 삶도 곧 회복할 겁니다."지난 16일 오전, 경북 의성군 단촌면 고운사에서 주지 등운 스님은 폐허 속에서 돋아난 나무 새순을 바라보며 "시간이 지나 자연이 회복하듯 우리 삶도 곧 회복할 것"이라고 말했다.지난달 25일 이곳 천년 고찰에는 태풍 같은 바람에 올라탄 비화(飛火)가 하늘에서 쏟아지듯이 떨어졌다고 한다.1천도가 넘는 화염에 고운사를 감싸고 돈 등운산 위 나무들은 새까만 숯으로 변했다.등운 스님은 "점곡면에서 단촌면 구계리로 상상도 할 수 없는 불씨가 날라 떨어졌다"며 "방염 작업을 다했는데도 사찰 건축물 25개 동이 불에 탔다"고 말했다.산불에 건축물인 국보 가운루와 연수전은 물론이고 승려들 생활관인 연지암도 소실됐다.이날 기자가 다시 찾은 고운사 입구에는 전라도부터 서울까지 전국 방방곡곡 불자들의 응원 메시지가 담긴 플래카드가 걸려 있었다.고운사 승려 20명은 현대식 건물인 템플스테이관을 임시 거주지로 사용하고 있었다.신도 박정윤(66·의성읍) 씨는 "전국에 있는 절마다 불자들이 봉사하러 와주고 있다"며 "그나마 이곳에서 다친 사람은 없어서 다행"이라고 말했다.고운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다. 복구에 짧게는 수년이 걸리고, 복구 비용에 대략 507억원이 들 것으로 추산됐다. "봄은 왔지닭 코스 요리닭 육회, 닭 날개다리구이, 닭 불고기, 닭백숙까지 한 끼 식사다. 치킨은 잊어라. 해남에선 닭이 코스 요리로 나온다. 부위별로 다양하게 조리한 닭을 차례대로 내어 놓는 것. 먼저 신선한 닭 가슴살과 닭똥집, 닭발을 잘게 다져 나오는데, 참기름에 찍어 먹으면 입 안에서 새로운 맛의 향연이 열린다. 다음으로 바삭하게 구운 닭날개와 닭다리가 나온다. 우리에게 익숙한 담백하고 쫄깃한 맛이다. 그 다음으로 매콤한 양념장에 재운 닭 불고기가 나온다. 맛의 균형을 맞추듯 담백함, 고소함, 매콤함이 순차적으로 나오는 것. 상추에 닭 불고기와 함께 마늘을 넣고 쌈을 싸 먹으며 만족감이 절정을 향할 때, 닭 뱃속에 찹쌀을 넣고 푹 삶은 제대로 된 백숙이 나온다. 부드러운 살코기에 파김치를 더하면, 맛의 마침표를 찍는다. 식당에 따라 마무리로 닭죽이 나오기도 한다. 식당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가격은 4인 한 상 8만 원(1인 2만 원)이 일반적이다.해물밭에노는닭(061-533-5311), 정든집(533-1199), 명성가든(532-3756), 고향가든(536-5030), 돌고개가든(537-7100), 일미정(536-2727), 진솔가든(536-4643), 호산정(534-8844).쌈밥대중적인 푸짐한 전라도 밥상이다. 신선한 나물과 채소를 기본으로, 여러 반찬을 더 했다. 메인은 매콤한 양념에 잘 볶은 돼지고기이다. 비빔밥처럼 골고루 채소를 넣고 고추장과 참기름에 비벼 먹거나, 상추와 깻잎에 매콤한 돼지고기 볶음을 넣고 싸 먹거나, 어떤 방법을 택해도 기대 이상의 맛이다. 식재료는 대부분 해남에서 난 것들이라 신선하다. 보통 돼지고기 볶음과 국을 포함해 20가지 반찬이 나온다. 식당에 따라 보리밥이 기본으로 나오는 곳도 있다. 값은 1인분 1만2,000원부터 2만~3만 원까지 차이가 있다. 보리향기(061-534-3376), 태웅식당(533-5848), 물레방아식당(534-3708), 별미쌈밥(535-2688), 한오백년(534-5633), 이강빈의불쌈밥(0507-1412-1415).고구마빵해남은 전남 고구마 생산량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전남 최대 주산지다. 해남에
- 이전글독서 모임 하길 잘했네요!! 23일에 필사 25.04.17
- 다음글소방연구원 제공휴대전화 보조 25.04.1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