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시안 반도체공장. /사진제공=삼성
페이지 정보

본문
삼성전자 시안 반도체공장. /사진제공=삼성
삼성전자 시안 반도체공장. /사진제공=삼성전자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한국 반도체 기업의 중국 현지공장에 미국산 장비 공급을 제한한다는 방침을 통보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WSJ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 수출통제부문 책임자인 제프리 케슬러 산업·안보 담당 차관은 이번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이 같은 방침을 통보했다. 전 세계 1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대만 TSMC에도 같은 방침이 통보됐다.통보된 방침은 중국 현지공장에 미국 반도체 제조 장비를 공급할 때마다 허가를 받지 않아도 되는 조치를 취소하는 취지라고 WSJ는 소개했다.트럼프 행정부의 이 같은 방침은 한국과 대만 반도체 기업의 중국 현지공장에 미국산 첨단 반도체 장비가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트럼프 2기 행정부 들어 미국과 중국의 무역갈등을 계기로 패권경쟁이 심화하는 가운데 미국의 첨단 기술이 중국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더 강력하게 통제하기 위한 조치의 일환으로 보인다.미국은 조 바이든 전 대통령 재임 당시 중국의 '반도체 굴기(일어섬)'를 억제하기 위해 미국 기업이 중국의 반도체 기업에 첨단 반도체 장비를 수출하는 것을 사실상 금지하는 수출 통제를 발표했지만 동맹국 기업이 받을 선의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한국 기업의 중국 현지공장은 적용 대상에서 제외했다.삼성전자는 중국 시안과 쑤저우에서 각각 낸드플래시 생산 공장과 반도체 후공정(패키징) 공장을 운영 중이다. SK하이닉스는 중국 우시에서 D램 공장, 충칭에서 패키징 공장, 다롄에선 인텔로부터 인수한 낸드 공장을 가동 중이다.트럼프 행정부가 이번 방침을 공식적으로 확정할 경우 미국과 중국의 패권경쟁 틈새에서 아슬아슬하게 유지돼온 한국 기업의 중국 현지 반도체 생산 전략이 크게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크다. 반도체 나노(㎚·1나노미터는 10억분의 1m)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미국산 제조장비가 제때 공급되지 않으면 현재 생산 중인 제품 이후의 첨단공정 반도체는 사실상 생산이 불가능하다.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장관은 이와 관련, 지난달 싱가포르에서 열린 아시아안보대화에서 미국의 아시아 동맹국이 안보는 미국에 의지하고 경제는 중국과의 교역에 의존하는 이른바 '안미경중'(安美經中) 방침을 더 이상 이어가선 안 된다고 밝혔다.이번 방침이 지난달 제네바 회담에 이어 이달 런던 회담으로 관세·무역 전쟁을 일시 봉합한 미중 양국에 새로운 갈등의 불씨가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백악관 당국자들은 이번 조치가 중국이 대미(對美) 희토류 수출통제에 허가 시스템을 적용한 것삼성전자 시안 반도체공장. /사진제공=삼성전자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한국 반도체 기업의 중국 현지공장에 미국산 장비 공급을 제한한다는 방침을 통보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WSJ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 수출통제부문 책임자인 제프리 케슬러 산업·안보 담당 차관은 이번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이 같은 방침을 통보했다. 전 세계 1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대만 TSMC에도 같은 방침이 통보됐다.통보된 방침은 중국 현지공장에 미국 반도체 제조 장비를 공급할 때마다 허가를 받지 않아도 되는 조치를 취소하는 취지라고 WSJ는 소개했다.트럼프 행정부의 이 같은 방침은 한국과 대만 반도체 기업의 중국 현지공장에 미국산 첨단 반도체 장비가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트럼프 2기 행정부 들어 미국과 중국의 무역갈등을 계기로 패권경쟁이 심화하는 가운데 미국의 첨단 기술이 중국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더 강력하게 통제하기 위한 조치의 일환으로 보인다.미국은 조 바이든 전 대통령 재임 당시 중국의 '반도체 굴기(일어섬)'를 억제하기 위해 미국 기업이 중국의 반도체 기업에 첨단 반도체 장비를 수출하는 것을 사실상 금지하는 수출 통제를 발표했지만 동맹국 기업이 받을 선의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한국 기업의 중국 현지공장은 적용 대상에서 제외했다.삼성전자는 중국 시안과 쑤저우에서 각각 낸드플래시 생산 공장과 반도체 후공정(패키징) 공장을 운영 중이다. SK하이닉스는 중국 우시에서 D램 공장, 충칭에서 패키징 공장, 다롄에선 인텔로부터 인수한 낸드 공장을 가동 중이다.트럼프 행정부가 이번 방침을 공식적으로 확정할 경우 미국과 중국의 패권경쟁 틈새에서 아슬아슬하게 유지돼온 한국 기업의 중국 현지 반도체 생산 전략이 크게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크다. 반도체 나노(㎚·1나노미터는 10억분의 1m)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미국산 제조장비가 제때 공급되지 않으면 현재 생산 중인 제품 이후의 첨단공정 반도체는 사실상 생산이 불가능하다.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장관은 이와 관련, 지난달 싱가포르에서 열린 아시아안보대화에서 미국의 아시아 동맹국이 안보는 미국에 의지하고 경제는 중국과의 교역에 의존하는 이른바 '안미경중'(安美經中) 방침을 더 이상 이어가선 안 된다고 밝혔다.이번 방침이 지난달 제네바 회담에 이어 이달 런던 회담으로 관세·무역 전쟁을 일시 봉합한 미중 양국에 새로운 갈등의 불씨가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백악관 당국자들은 이번 조치가 중국이 대미(對美) 희토류 수출통제에 허가 시스템을 적용한 것
삼성전자 시안 반도체공장. /사진제공=삼성
- 이전글우정과 로맨스: 사랑의 다양한 모습들 25.06.21
- 다음글[직설]공룡의 멸종, 과연 우연일까요 25.06.2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