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에너지의학자 제임스 오쉬만 박사와 공학물리학자 가에탕 쉬발리에 박사 등이 미국 염증연구지에 발표한 논문 '접지(earthing)가 만성 염증과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미치는 영향'(2015년)에서 “땅에서 올라오는 자유전자는 최고의 항산화제이며, 우리 몸은 땅과의 물리적 접촉을 통해 수십억 년에 걸쳐 이를 사용하도록 진화했기 때문에 그 어떠한 2차적인 부정적인 효과가 전혀 없다 할 수 있다. 그런데 우리 현대인이 부도체의 신발을 신고 고층건물 등에 주거하는 생활 방식에 따른 1일 24시간, 1년 365일의 접지 차단은 우리의 몸과 면역체계로부터 오랜 옛날부터 가져왔던 그러한 자유전자의 제공원을 갑자기 빼앗아 버림으로써 우리의 몸과 면역체계에 이상현상을 초래하게 되었다. 그 결과는 우리의 면역체계를 끊임없이 활동하게 만들고 결국 힘이 소진되게 만든다. 그렇게 힘이 소진되면서 면역계의 세포는 신체의 다양한 화학구조와 기생충, 박테리아, 곰팡이 및 암세포 분자를 구별하지 못하게 될 수 있고, 그러한 면역계의 기억 상실은 어떠한 면역세포들로 하여금 자기 자신의 신체의 조직과 기관에의 공격으로 이어질 수 있다. 소위 말하는 자가면역질환의 발병이다”라고 기술하고 있다. 실제 그간 우리 회원들 중 윤모씨가 지난 2017년 섬유근육통을 진단받은 이후 1년 이상 병원을 다니며 약물을 처방받았으나 나아지지 않던 중 2019년 10월 맨발걷기를 시작한 이후 2개월여만에 통증의 70~80%가 해소됐고, 피로감이나 우울감 등이 해소되면서 일상생활에 전혀 문제가 없는 상황이 됐다는 기쁜 증언을 대모산에서 한 바 있다. 또한 비슷한 자가면역질환인 섬유근염과 아토피 피부염으로 지난 2020년 7월 저자의 대모산 정기 맨발산행에 전 가족이 출동해 같이 맨발로 참석했던 최모군의 사례도 있다. 당시 필자는 “초등학교 4학년인 최군이 섬유근염, 아토피 피부염의 치유를 위해 동생, 엄마, 외할아버지, 할머니와 함께 맨발걷기에 나섰고, 폭우 속 맨발 산행 내내 맨발걷기로 나을 수 있다는 희망을 이야기하는 모습이 참 대견했다. 이제 맨발걷기의 중요성을 확실히 깨닫게 되었으니만큼, 앞으로 집마당의 잔디밭이나 자투리 흙바닥을 매일 맨발로 걷고 맨발로 놀(포천=연합뉴스) 우영식 심민규 기자 = 공군 전투기 오폭 사고가 발생한 지 한 달. 충격이 채 가시지 않았던 경기 포천시 이동면 노곡리 마을은 조금씩 일상을 되찾아가고 있다. 현수막 걸린 전투기 오폭사고 현장 (포천=연합뉴스) 임병식 기자 = 2일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노곡리 마을회관 인근에 공군 전투기 오폭 사고 관련 보상을 요구하는 현수막이 걸려 있다. 2025.4.2 andphotodo@yna.co.kr 2일 오전 찾은 노곡리 마을 곳곳에는 폭탄 충격으로 지붕이 무너지고 유리창이 산산조각이 났던 흔적 위로 복구 작업이 한창이었다.큰 피해를 보았던 황토집 자리에는 임시 조립식 주택이 들어섰다. 상수도 연결 작업이 진행 중인 주택 내부에는 군에서 제공한 냉장고와 전자레인지가 설치됐다.황토집 주인은 "바로 옆에서 농사도 짓고 염소도 돌봐야 해서 관사로 갈 수 없다"며 현장을 지키고 있었다.황토집 맞은편, 사고 당시 상황을 담았던 CCTV가 설치된 주택에서는 군 장병들이 파손된 천장 잔해를 치우는 중이었다.이 집 주인 강모(55) 씨는 군 관사에서 생활하며 사고 현장 인근에 텐트를 치고 일상을 이어가고 있었다.강씨는 "세탁기와 냉장고를 관사로 옮겨 사용 중이고 은행에서 자금 문제가 해결돼서 조금이나마 생활이 나아졌다"며 "집 철거는 군과 시 중 누가 할지 아직 결정되지 않아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복구 진행 중인 오폭사고 현장 (포천=연합뉴스) 임병식 기자 = 2일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노곡리 공군 전투기 오폭 사고 현장에서 파손된 민가를 위한 임시 거주 조립식 주택에 수도 연결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군에 따르면 지난 1일까지 총 1천500여명 장병이 복구 작업에 나서 잔해를 정리하고 창문과 출입문, 지붕, 보일러 등 시설물을 보수했다. 2025.4.2 andphotodo@yna.co.kr 상대적으로 피해가 적었던 주택들은 깨진 유리가 새 유리로 교체되는 등 복구가 진행 중이다.마을에서 상회를 운영하는 김동환(93) 어르신은 "우리 가게 건물에 금이 갔지만 복구는 아직이다. 오늘 한전에서 낡은 전기선을 교체해줬다"며 "그래도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고 말했다.사고 직후 한방·물리치료를 받기 위해 주민들이 몰렸던 마을회관은 현재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