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연합뉴스) 이은파 기자
페이지 정보

본문
(대전=연합뉴스) 이은파 기자 = 최근 대형산불로 큰 피해를 본 경북·경남지역 한국임업후계자협회 회원들이 17일 정부대전청사 앞마당에서 집회를 열고 피해 임업인에 대한 정부의 신속하고 실질적인 보상을 촉구하고 있다. 앞서 한국임업후계자협회 회장단은 산불을 국가재난으로 선언할 것을 촉구하며 삭발했다. 2025.4.17 sw21@yna.co.kr▶제보는 카톡 okjebo [앵커] 한 해 동안방음벽에 부딪혀죽는 새가800만 마리가 넘습니다. 이를 막기 위해 전 세계에서한국과 미국딱 두 나라에선 특별한 실험을 하고 있는데요. 현장카메라, 정성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봄이면 철새들이 잠시 쉬어가는 서해 북방 소청도. 새 잡기가 한창입니다. [김민영 / 조류충돌방지협회 선임연구원] "되새인데, 이 친구는 암컷이에요. 수컷은 더 머리가 까맸고." 충돌을 막기 위해 새 눈에 잘 띄는방음벽 무늬를 찾아내는실험을 하는 겁니다. 이 연구실 안에는 유럽과 아시아에단 하나 뿐인 터널이 있습니다. 조류 충돌 방지 실험을 위해특수 설계된 건데요,입구에서 새를 날린 뒤저 끝에 있는 무늬를 보고새가 부딪히지 않고 잘 피하는지 보는 겁니다. 끝 부분엔 그물을 쳐새들이 부딪히지 않게 보호합니다. [안성진 / 조류충돌방지협회 이사] "하나는 플레인한 유리고 하나는 패턴이 있는 유리예요. 그래서 어느 쪽으로 날아가는지 경향성을 측정하는 것이고요." 먼저 국내 권고 규격인5X10 간격 점 무늬부터 실험합니다. [현장음] "테스트 19번" 날아가는 새,점 무늬 쪽으로 날아갔습니다.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겁니다. [현장음] "테스트(인식 못함)" 간격이 더 좁은 5X5 무늬로도 시도합니다. [현장음] "테스트 33번" 점 무늬를 인식했는지무늬 없는 쪽으로 향합니다. [현장음] "컨트롤(인식함)" 새 80마리를 날려본 결과,점 간격이 좁을 수록 새들이 잘 피했습니다. 새는 좌우는 잘 볼 수 있지만정면을 보는 능력은 떨어집니다. 점 간격이 좁을수록 효과적인 겁니다. 빛을 반사하는 특수 유리나 촘촘한 선으로 그린새 그림도 실험에 사용됩니다. [조류충돌방지협회 관계자] "이것도 충분히 새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디자인이거든요." 이렇게 다양한 실험을이어가는 이유는,아무런 무늬 없이 설치된투명벽은 새에게는 죽음의 벽이기 때문입니다. [박선희 / 경기 오산시] "새가 유리인지 아닌지 모르고 그냥 부딪쳐서 바닥으로 떨여졌었거든요." 맹금류 스티커도큰 효과가 없습니다. [현장음] "새들이 맹금류라는 형태를 인식하는 게 아니라 내가 통과할 수 '있다, 없다'를 판단하는 게 더 크거든요." 방음벽 충돌로 죽는 새는한 해 800만 마
- 이전글안양상간소송변호사 25.04.17
- 다음글카지노 무료【〃KOA79.COM〃】kcwin 토토사이트먹튀보장사이트 25.04.1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