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14일 ‘찾아가는 독자위원회’에 참석한 독자들이 ‘어떤바람’의 식구인 산방이와 함께 섰다. ⓒ시사IN 박미소 2024년 12월4일 아침은 어수선했다. 전날 밤 윤석열의 쿠데타 시도로 민주주의는 크게 덜컹거렸고, 아침을 맞은 사람들의 마음에는 불안이라는 무거운 짐이 쌓였다. 제주도에 살고 있는 안민정씨의 마음도 그랬다. 누군가와 풀어놓고 말하고 싶었다. 지금의 상황을, 지금의 마음을.그날, 그의 발길이 제주도 서귀포시 서남쪽 최남단 사계리로 향했다. 마을 한편에 담쟁이넝쿨이 외관을 뒤덮은 작은 서점이 있다. 책방지기 김세희·이용관씨 부부가 운영하는 동네서점 ‘어떤바람’이다. 당장 여의도 국회 앞으로 뛰어나가고 싶은 마음이었지만, 480㎞ 떨어진 그곳까지 달려가기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너무 컸다.안민정씨처럼 마음은 광장에 있지만, 멀리 나가지 못하는 사람들이 동네서점에 모여 세상 이야기를 시작했고, 이는 이윽고 정기적인 모임으로 발전했다. 한 달에 한 번, 〈시사IN〉을 함께 읽으며 세상 이야기를 나누는 자리가 올해 1월4일부터 어떤바람에서 시작됐다.6월14일 오후 5시, 삼삼오오 모여드는 사람들을 어떤바람의 마스코트인 반려견 ‘산방이’가 반갑게 맞이했다. 산방이는 사계리 북쪽에서 마을을 굽어보는 마을 뒷산 산방산에서 이름을 따왔다. 볕이 잘 드는 사계리의 늦은 오후, 어떤바람에서 6월 독자 모임이 시작됐다. 안민정씨와 책방지기 부부 외에도 김도태·김두석·김형철·박경규·윤주영·이상희·이용관·이재상·최유진(가나다순) 독자가 함께했다. 6월14일 제주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에 위치한 ‘어떤바람’ 한편에서 ‘찾아가는 독자위원회’가 진행되고 있다. ⓒ시사IN 박미소 이번 모임은 ‘내란의 공간’을 다룬 〈시사IN〉 제921호부터 새 정부 출범 직전까지의 뉴스를 담은 제924호가 리뷰 대상이었다. 찾아가는 독자위원회(찾독위)가 열린 이날은 이미 대선이 끝나고 새 정부가 출범한 시점이었지만, 한 달 만에 모인 독자위 멤버들은 대선 과정 전반을 리뷰했다. 어떤바람에서 진행하는 독자 모임은 내란의 시작과 함께 출발했기 때 한성존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이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중증·핵심의료 재건을 위한 간담회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5.7.14/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서울=뉴스1) 강승지 기자 = 의과대학 학생들에 이어 사직 전공의들도 돌아오리란 기대감이 커진 가운데 사태 해결을 위해서는 지역 '바이탈과'(필수의료 분야) 사직 전공의들의 요구가 반영돼야 한다는 주장이 이어지고 있다.열악했던 수련환경을 개선하고, 불가항력적 의료사고로 인한 소송 부담을 줄여야만 사명감으로 다시 일할 수 있다는 의미다. 이를 위해 정부와 의료계는 물론 교수, 기복귀자 등 의료계 내부 신뢰도 회복될 때라는 목소리도 나온다.17일 의료계에 따르면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오는 19일 임시대의원총회를 열고 수련 재개에 대한 요구사항을 확정할 예정이다. 해결이 시급한 사안을 추려, 정부·국회 등에 제안하고 복귀를 이끈다는 구상으로 보인다.앞서 대전협이 전국 사직 전공의 8458명 대상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전공의들이 꼽은 복귀 선결 조건(복수응답 가능) 1순위는 '윤석열 정부의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와 의료개혁 실행방안 재검토'(76.4%)였다.'재검토' 요구의 범위가 방대한 데 대해 대전협은 "재검토는 굉장히 넓은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인 내용을 논의 중"이라며 조정 가능성을 시사했다. 우선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과 수련 연속성 보장 △의료 현장의 사법 리스크 완화를 택한 모양새다. 박주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왼쪽)과 한성존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이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중증·핵심의료 재건을 위한 간담회에 참석하고 있다. 2025.7.14/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지난 1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의원들을 만난 대전협은 수련환경 개선 등 당면 과제, 중장기적 과제를 함께 해결해 가기로 공감대를 이뤘다. 다만 요구사항이나 수련재개 시기 등 구체적인 이야기는 하지 않았다고 선을 그었다.다만 앞선 설문에서 '수련을 재개할 생각이 없다'고 답한 전공의 중 72.1%는 병원에 반드시 개설돼야 할 중증·핵심의료 분야(내과·외과·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신경외과·신경과·응급의학과·심장혈관흉부외과)에 종사한 이들이었다.대전협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