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콘서
페이지 정보

본문
한 콘서
한 콘서트장에서 관객이 응원봉을 들고 있다.[X(구 트위터) 갈무리] [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 “콘서트 티켓만 사면 되는 거 아니었어?”콘서트장을 물들이고 있는 형형색색의 불빛. 관객 모두가 하나씩 들고 있는 ‘응원봉’은 웃돈을 주고서라도 구매해야 하는 요즘 콘서트 ‘필수템(필수 아이템)’이다.문제는 이같은 ‘예쁜 쓰레기’가 다량 배출되고 있다는 것. 재활용도 어려운 플라스틱 소재로 이뤄진 데다, 시즌별로 새 제품이 출시돼 사용 기간이 길지 않은 탓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응원봉’ 문화는 쉽게 바뀌지 않는다. 연예기획사의 입장에서 굿즈(기념품)는 포기하기 힘든 수익원이기 때문.하지만 이 모든 것을 포기하고 ‘친환경’을 우선 선택한 월드스타가 등장했다. 바로 8년 만에 내한한 밴드 콜드플레이.이들은 플라스틱 응원봉 대신, 재사용할 수 있는 ‘형광 팔찌’를 무상 보급해, 콘서트장을 물들일 계획이다. “응원봉 안 사도 된다” 관행 뒤집은 월드스타 콜드플레이 공연 모습.[유튜브 COLDPLAY 채널 갈무리] 세계적인 록 밴드 콜드플레이는 이달 16일부터 25일까지 8년 만의 단독 내한 공연을 펼친다. 총 6번의 콘서트에서는 한국 공연 역사상 가장 많은 관람객인 31만명이 공연장을 찾을 예정이다.‘역대급 공연’과 함께 주목받고 있는 것은 콜드플레이가 추구하는 ‘친환경’ 공연 문화. 무엇보다 콜드플레이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인기를 끌고 있는 ‘응원봉’ 굿즈를 판매하지 않기로 결정하며, 팬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콜드플레이 공연장에서 관객들이 자이로밴드를 차고 있다.[유튜브 COLDPLAY 채널 갈무리] 그렇다고 해서 관객석을 물들이는 불빛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콜드플레이는 관객 전원에게 친환경 소재로 제작된 재사용 LED 팔찌, 일명 ‘자이로밴드’를 배포할 예정이다.해당 팔찌에는 LED와 센서가 내장돼 있어, 중앙 무대의 조절에 따라 색상이 바뀐다. 기존 ‘응원봉’과 기능이 크게 다르지 않다. 아울러 공연이 끝난 후 그대로 회수돼, 다음 공연에서 재사용 된다. 플라스틱 쓰레기를 만들지 않는 셈이다. 콜드플레이 공연에서 나눠준 야광 팔찌 ‘자이로밴드’.[X(구 트위터) 갈무리] 포항해양경찰서는 러시아산 킹크랩 등 해산물을 국내에 몰래 들여온 혐의로 7명을 검거해 선장과 브로커 등 4명을 구속 송치했습니다. 이들은 동해 먼바다에서 외국 선박과 만나 킹크랩과 털게 등을 옮겨싣고 국내에 들여오는 방식으로 5억5백만 원어치 해산물을 밀수한 혐의를 받습니다. 해경은 포항 구룡포항에서 운반선 선원들을 현행범 체포한 뒤 추적 끝에 브로커 등을 모두 붙잡았고, 킹크랩 4.3톤과 털게 1.1톤 등을 압수했습니다. YTN 김근우 (gnukim0526@ytn.co.kr)※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한 콘서
- 이전글SBS 금토드라마 ‘보물섬’ 10회는3월 25.04.18
- 다음글김동연, ‘비동의 강간죄 도입’ 공약···민주당 후보 중 유일? 25.04.1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