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평택 캠퍼스. [ⓒ 삼성전자][디지털데일리 고성현 기자] 올해 1분기 실적 발표를 앞둔 국내 양대 메모리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비수기 진입, 범용 제품의 가격 하락에 따른 실적 부진이 예고됐다. 다만 2분기부터 메모리 가격이 상승하는 흐름이 이어지면서 점차 완만한 반등이 일어날 것이란 기대감도 함께 나오는 모양새다.2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올해 1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5조1428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22.1% 줄어들고 직전분기 대비로도 1조원 이상 떨어질 것이라는 관측이다.삼성전자의 1분기 실적 부진 전망의 요인으로는 반도체(DS)부문 영향이 적지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메모리사업부가 범용 D램 공급 감소, 고대역폭메모리(HBM) 공급 저조 등에도 2조원의 수익이 예상되나, 시스템반도체 부문인 파운드리와 시스템LSI사업부가 적자를 내면서 영업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증권가 등에서는 이같은 관측에 따라 삼성전자가 DS부문에서 1분기 3000억 후반에서 4000억원대의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SK하이닉스도 유사한 흐름이 예고됐다. SK하이닉스의 1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는 6조4980억원으로, 적자 이후 반등세를 탔던 작년 1분기 대비로는 125% 상승했으나 직전분기(8조828억원) 대비로는 1조5000억원 가까이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권역의 메모리 업체가 범용 D램 시장에 진입하며 가격 하락이 발생한 가운데, 낸드 수요가 저조한 점이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반도체 업계에서는 양대 메모리사가 1분기를 저점으로 다진 후 실적 반등을 보여줄 것으로 보고 있다. 작년 메모리반도체 시장을 이끌어 온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가 지속되는 가운데, 장기간 침체를 이어오던 범용 메모리 수요가 살아날 수 있다는 관측에서다.미국 마이크론이 올해 메모리에 대한 가격 인상에 나선 것도 이를 증명하는 대목 중 하나다. 마이크론은 글로벌 메모리반도체 3대 업체 중 하나로, 국내 업체보다 앞서 실적을 발표해 국내 반도체 업계의 '실적 바로미터' 역할을 해왔다. 마이크론은 지난 25일 파트너들에게 모든 반도체 제품에 대한 가격 인상 소식을 전달한 바 있다.SK하이닉스 이천 M16팹 [ⓒSK하이닉스]메모리 시황이 밝아진 배경에는 지난해 지속된 D램, 낸드에 대한 감산 대응과 서버를 중심으로 한 AI산업의 인프라 확장 등이 꼽힌다. 공급과삼성전자 평택 캠퍼스. [ⓒ 삼성전자][디지털데일리 고성현 기자] 올해 1분기 실적 발표를 앞둔 국내 양대 메모리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비수기 진입, 범용 제품의 가격 하락에 따른 실적 부진이 예고됐다. 다만 2분기부터 메모리 가격이 상승하는 흐름이 이어지면서 점차 완만한 반등이 일어날 것이란 기대감도 함께 나오는 모양새다.2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올해 1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5조1428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22.1% 줄어들고 직전분기 대비로도 1조원 이상 떨어질 것이라는 관측이다.삼성전자의 1분기 실적 부진 전망의 요인으로는 반도체(DS)부문 영향이 적지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메모리사업부가 범용 D램 공급 감소, 고대역폭메모리(HBM) 공급 저조 등에도 2조원의 수익이 예상되나, 시스템반도체 부문인 파운드리와 시스템LSI사업부가 적자를 내면서 영업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증권가 등에서는 이같은 관측에 따라 삼성전자가 DS부문에서 1분기 3000억 후반에서 4000억원대의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SK하이닉스도 유사한 흐름이 예고됐다. SK하이닉스의 1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는 6조4980억원으로, 적자 이후 반등세를 탔던 작년 1분기 대비로는 125% 상승했으나 직전분기(8조828억원) 대비로는 1조5000억원 가까이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권역의 메모리 업체가 범용 D램 시장에 진입하며 가격 하락이 발생한 가운데, 낸드 수요가 저조한 점이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반도체 업계에서는 양대 메모리사가 1분기를 저점으로 다진 후 실적 반등을 보여줄 것으로 보고 있다. 작년 메모리반도체 시장을 이끌어 온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가 지속되는 가운데, 장기간 침체를 이어오던 범용 메모리 수요가 살아날 수 있다는 관측에서다.미국 마이크론이 올해 메모리에 대한 가격 인상에 나선 것도 이를 증명하는 대목 중 하나다. 마이크론은 글로벌 메모리반도체 3대 업체 중 하나로, 국내 업체보다 앞서 실적을 발표해 국내 반도체 업계의 '실적 바로미터' 역할을 해왔다. 마이크론은 지난 25일 파트너들에게 모든 반도체 제품에 대한 가격 인상 소식을 전달한 바 있다.SK하이닉스 이천 M16팹 [ⓒSK하이닉스]메모리 시황이 밝아진 배경에는 지난해 지속된 D램, 낸드에 대한 감산 대응과 서버를 중심으로 한 AI산업의 인프라 확장 등이 꼽힌다. 공급과잉이었던 범용 재고가 줄어든 가운데 온디바이스AI 확대에 따른 제품 수요가 확대된 점이 상승 흐름을 만들어냈다는 관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