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성인 10명 중 7명 “중강도 이상 신체활동 안 한다”…만성질환·정신건강 위험 신호한국 성인 10명 중 7명이 중강도 이상의 신체활동을 실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 평균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심혈관계 질환과 비만, 정신건강 문제 등 다양한 공중보건 위협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 성인 10명 중 7명이 중강도 이상의 신체활동을 실천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게티이미지뱅크 12일 질병관리청이 전국 17개 시도, 258개 보건소, 33개 지역대학과 함께 수행한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강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은 26.6%에 불과했다. 성인 10명 중 약 7명이 일상에서 숨이 차고 땀이 나는 수준의 운동을 거의 하지 않는다는 의미다. 같은해(2022년) 기준으로 전 세계 성인의 신체활동 부족률은 31.3%였지만, 우리나라의 부족률은 이보다 1.9배 높은 58.1%에 달했다. 중강도 이상 신체활동은 평소보다 몸에 약간 힘이 들고 숨이 조금 찰 정도부터매우 힘들어 숨이 많이 차는 활동까지 포함한다. 대표적으로 천천히 수영하기, 복식 테니스, 가벼운 물건 나르기 등이 중강도에 해당하며, 달리기·등산·줄넘기·단식 테니스처럼 강한 신체적 부담을 주는 활동은 고강도 운동으로 분류된다. ◆도시보다 농어촌 실천율 높아…20대 남성 가장 ‘적극적’ 지역별로는 수도권과 대도시의 실천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서울(26.8%), 경기(25.4%), 부산(25.8%) 등은 전국 평균을 밑돌았다. 경남(31.8%), 충남(28.7%), 전남(28.0%) 등 농어촌 지역은 평균보다 높았다. 자동차·대중교통 의존도가 높고 사무직 비중이 큰 도시 지역과 달리, 농어촌은 직업 특성상 활동량이 많은 경우가 많아 실천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풀이된다. 성별로는 남성이 30.2%로 여성(19.5%)보다 10%p 이상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20대가 32.3%로 가장 높았고, 특히 20대 남성은 42.2%로 전 연령·성별 중 실천율이 가장 높았다. 반면 70대 이상은 13.8%로 가장 낮았다. 여성은 연령에 따른 큰 차이는 없었지만, 40~50대 중년층에서 실천율한국 성인 10명 중 7명 “중강도 이상 신체활동 안 한다”…만성질환·정신건강 위험 신호한국 성인 10명 중 7명이 중강도 이상의 신체활동을 실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 평균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심혈관계 질환과 비만, 정신건강 문제 등 다양한 공중보건 위협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 성인 10명 중 7명이 중강도 이상의 신체활동을 실천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게티이미지뱅크 12일 질병관리청이 전국 17개 시도, 258개 보건소, 33개 지역대학과 함께 수행한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강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은 26.6%에 불과했다. 성인 10명 중 약 7명이 일상에서 숨이 차고 땀이 나는 수준의 운동을 거의 하지 않는다는 의미다. 같은해(2022년) 기준으로 전 세계 성인의 신체활동 부족률은 31.3%였지만, 우리나라의 부족률은 이보다 1.9배 높은 58.1%에 달했다. 중강도 이상 신체활동은 평소보다 몸에 약간 힘이 들고 숨이 조금 찰 정도부터매우 힘들어 숨이 많이 차는 활동까지 포함한다. 대표적으로 천천히 수영하기, 복식 테니스, 가벼운 물건 나르기 등이 중강도에 해당하며, 달리기·등산·줄넘기·단식 테니스처럼 강한 신체적 부담을 주는 활동은 고강도 운동으로 분류된다. ◆도시보다 농어촌 실천율 높아…20대 남성 가장 ‘적극적’ 지역별로는 수도권과 대도시의 실천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서울(26.8%), 경기(25.4%), 부산(25.8%) 등은 전국 평균을 밑돌았다. 경남(31.8%), 충남(28.7%), 전남(28.0%) 등 농어촌 지역은 평균보다 높았다. 자동차·대중교통 의존도가 높고 사무직 비중이 큰 도시 지역과 달리, 농어촌은 직업 특성상 활동량이 많은 경우가 많아 실천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풀이된다. 성별로는 남성이 30.2%로 여성(19.5%)보다 10%p 이상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20대가 32.3%로 가장 높았고, 특히 20대 남성은 42.2%로 전 연령·성별 중 실천율이 가장 높았다. 반면 70대 이상은 13.8%로 가장 낮았다. 여성은 연령에 따른 큰 차이는 없었지만, 40~50대 중년층에서 실천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중강도 이상 신체활동은 만성질환 예방은 물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