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회원정보
로그인 회원가입
  • 질문답변
  • 질문답변

    CONTACT US 043)535-1980

    평일 09시 - 18시
    토,일,공휴일 휴무

    질문답변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15회 작성일 25-05-16 19:29

    본문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16일 전날부터 제주 서귀포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회의를 마친 뒤 브리핑을 갖고 기자단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회의에 참석한 21개 회원국이 보호무역주의 광풍 속 유명무실해진 세계무역기구(WTO)를 비롯한 다자무역체제를 회복해야 한다는 데 공감대를 만들었다. 관세 폭풍을 일으킨 미국과 그 피해를 입은 한국·중국 등 주요국 통상 수장들이 한데 모인 만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공동선언문 만들기가 순탄치 않아 막바지에 가까스로 결론을 내렸다.APEC 통상장관회의, 16일 종료... 공동선언문 채택 성공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15일 제주 서귀포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회의에서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과 면담을 갖고, 미국 관세와 한-미 FTA 공동위 등 양국 간 통상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16일 제주 서귀포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열린 회의를 마치면서 참가국들이 만장일치로 공동 성명을 채택했다고 밝혔다. 성명은 △다자무역체제를 통한 연결 △무역 원활화를 위한 인공지능(AI) 혁신 △지속가능한 무역을 통한 번영 등 비공개 세션을 중심으로 작성됐으며 이 성명은 10월 경주에서 열릴 APEC 정상회의 통상 분야 선언문의 바탕이 된다.이번 선언문의 핵심은 회원국들이 다자무역체제를 되살리자고 뜻을 모았다는 점이다. 미국이 전세계를 상대로 무역 전쟁을 벌이면서 글로벌 통상 환경에 불확실성이 커지고 경제 침체 신호도 이어지는 상황이다. 특히 통상장관들은 WTO 중요성에 공감했다. 응고지 WTO 사무총장은 WTO가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무역 환경을 마련하는 데 꼭 필요한 기구로 거듭나겠다는 의지를 밝히며 통상 장관들의 지지를 요청했다13~16일(현지시간) 나흘간 진행된 중동 순방 마지막 방문지인 아랍에미리트(UAE)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초대형' 인공지능(AI) 캠퍼스 착공식에 모습을 드러냈다. 중동 '오일머니'가 미국 AI 기술을 향해 구애를 보내자 적극 호응하고 나선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의 AI 반도체 수출통제 제도를 폐기하는 등 이번 순방에서 중동지역의 'AI 야심'을 뒷받침하고 있다.15일(현지시간) UAE를 방문한 트럼프 대통령은 셰이크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하얀 UAE 대통령과 함께 아부다비의 AI 캠퍼스 제막식에 참석했다. 미국과 UAE는 AI 캠퍼스 첫 단계로 5기가와트(GW)의 전력이 공급되는 대규모 AI 데이터센터를 건설할 예정이다. 이는 미국 외 지역에서 진행되는 최대 규모 프로젝트가 될 전망이다. 데이터센터에 들어가는 AI 반도체는 미국산으로 채워진다.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앞서 15일 시행될 예정이었던 바이든 행정부의 AI 반도체 수출통제를 폐기하고 개별 정부와 협의하는 방식으로 미국산 반도체를 공급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UAE가 이 같은 개별국 간 협의의 첫 대상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특히 UAE는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방문기간 중 2025년부터 2027년까지 매년 엔비디아의 최첨단 AI 반도체를 50만개씩 구매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로이터는 보도했다. 이 같은 트럼프 대통령의 행보에 우려의 목소리도 제기되고 있다. NYT는 이번에 트럼프 대통령이 중동 국가들과 맺은 AI 협력 약속이 데이터센터 등 핵심 AI 기반시설이 미국이 아닌 중동에 세워지는 '외주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염려가 전현직 당국자와 AI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온다고 전했다.이들은 이 같은 AI 협력으로 미국이 과거 제조업이나 에너지 분야에서 생산시설들을 국외로 돌리며 주도권을 다른 나라에 내준 실수를 반복하는 것 아니냐고 지적하고 있다. 또 그간 수출을 통제해왔던 엔비디아 반도체가 이번에 중동으로 대거 들어가면서 미국의 AI 라이벌인 중국으로 전용될 위험이 커졌다는 걱정도 나온다. 미국에서는 UAE의 권위주의 정부 손에 미국의 반도체가 들어가는 것을 경계했던 것이 사실이다. [워싱턴 최승진 특파원]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